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댄디하늘
댄디하늘

우리나라에서 제일 먼저 개봉된 영화관은 어디일까요?

우리나라에서 제일 먼저 개봉된 영화관은 어디일까요?

우리나라에 영화를 제일 먼저ㅇ보여준 개봉관은 어디였을지 매우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영화관중 제일먼저 영화를 상영한곳은

      1907년 6월부터 광무대에서 상영 되었습니다

      잔다르크 기차 포병열차가 상영되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먼저 개봉된 영화가 뭔지 궁금하군요.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는 <의리적 구토>라는 영화입니다.

      감독과 각본은 김도산 입니다. 개봉된 날은 1919년 10월 27일이고 단성사에서 개봉되었다고 합니다. 장르는 연쇄극으로, 실연으로 무대에서 연기하기 어려운 장면을 영화로 상영하면서 진행시키는 연극의 일종으로 '키노드라마(kino drama)라고도 합니다.


      *키노드라마:영상을 연극의 일부분으로 수용, 다양하고 첨단적인 무대를 만들어 가는 연극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국 최초의 영화전문관은 1909년 개설된 '광무대(光武臺)'랍니다. 1898년 개설했던 '동대문활동사진소'를 1907년 6월부터 광무대라 하였습니다.

      초기에 포병열차,기차,잔 다르크 등의 영화가 상영되었답니다.

      그 뒤 원각사(圓覺社) ·단성사(團成社) 등 영화관이 급증하였습니다.


      영화관과 극장은 정확하게는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겠죠.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최초의 영화전문관은 1909년 개설된 '광무대(光武臺)'랍니다. 1898년 개설했던 '동대문활동사진소'를 1907년 6월부터 광무대라 하였습니다.

      초기에 포병열차,기차,잔 다르크 등의 영화가 상영되었답니다.

      그 뒤 원각사(圓覺社) ·단성사(團成社) 등 영화관이 급증하였습니다.


      영화관과 극장은 정확하게는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겠죠.


      (백과사전 발췌)

      한국 최초의 실내 상설극장이며, 황실극장격인 협률사(協律社)가 개설된 것은 1902년(광무 6)이었다. 이 해 12월 고종 황제의 등극 40년을 맞아 정부에서는 ‘어극 40년(御極四十年)’의 칭경예식(稱慶禮式)을 거행하기 위한 준비의 하나로 서울 서대문구 신문로 새문안교회 자리에 극장시설을 마련하여 기생 ·재인(才人) 등을 연습시킨 후, 수교국가(修交國家)의 원수(元首)들을 초청하였다.

      그 후 1908년, 당시 《대한신문》 사장인 작가 이인직(李人稙)이 “우리 나라 연극을 개량하기 위하여 신연극을 시작할 목적으로” 궁내부의 허가를 얻어 협률사 자리에 원각사(圓覺社)를 창설, 여기에서 한국 신연극의 첫 상연작품인 이인직의 《은세계(銀世界)》가 공연되었으며, 원각사의 수용인원은 2,000명 정도였다. 이보다 앞서 1907년 기생조합(妓生組合:券番)이 생김에 따라 기생 ·광대 ·재인들의 활동무대로서 단성사(團成社) ·장안사(長安社) ·연흥사(演興社:朝鮮劇場) 등 여러 극장이 생겨, 연흥사에서는 유명한 임성구(林聖九)의 《육혈포강도(六穴砲强盜)》가 상연되었으며, 이로써 이들 극장은 흥성기를 맞이한 신파극(新派劇)의 공연무대가 되었다.

      활동사진(영화)은 흔히 원각사에서 상영되었으나, 최초의 영화전문극장으로 등장한 것은 동대문 전차차고 근처에 설치된 ‘활동사진소’이다. 이 영화관은 한국전기회사에서 운영한 전차의 유객(誘客) 수단으로 이용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영된 초기의 필름들은 《포병열차》 《기차》 등의 시네마토그래프, 《뉴욕의 대화재》 《잔 다르크의 화형(火刑)》 등의 바이타스코프로 모두 단편영화였다.

      1919∼20년 사이에 생긴 영화 상영극장은 서울의 경성극장(京城劇場) ·황금관(黃金館) ·희락관(喜樂館) ·우미관(優美館) ·단성사 등 12관, 지방의 국제관(부산) ·마산극장 ·만경관(萬鏡館:대구) ·대전좌(대전) ·원산극장 ·계락관(階樂館:평양) 등 15관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한국 연극계에 공헌한 것은 35년 연극 전문극장으로 등장한 동양극장(東洋劇場)이다. 여기에서 한국의 신극이 성장하고 꽃을 피웠다. 광복 전까지 전문적인 연극 극장은 동양극장뿐이었으며, 후에 부민관(府民館:시민회관 별관) ·명치좌(明治座:市公館) 등이 등장하여 당시의 대표적인 극장이자 영화관 구실을 하였다.


      광복 후에는 급격히 증가한 영화의 수요에 따라 영화관이 급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