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간 근로자 채용 방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100인 규모의 기업에서 인사 담당하고 있습니다. :)
단기간 근로자 채용 방식에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각 채용 방식별 장단점 및 예상되는 노무 이슈가 궁금합니다.
프리랜서 용역 계약
시급으로 급여 제공
사업소득세 3.3% 공제
4대보험 가입 직원 계약
계약직 형태로 계약
월급으로 급여 제공
4대보험으로 공제
두 가지 계약 방법 별 장단점을 알 수 있을까요?
또 발생할 수 있는 노무 이슈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프리랜서 계약이라 하지만, 실질이 근로자라면 노동법이 전면 적용됩니다.
근로자라면 근로계약해야 뒷탈이 없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프리랜서란 일정한 집단,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자유계약으로 일하는 1인 기업 또는 사업가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프리랜서의 보수에 대해서는 3.3%로 세금처리를 합니다. 이와 달리 근로자로 채용이 되는 경우에는 3.3%의 세금처리가 아닌 4대보험에 가입하고 근로소득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적어주신 내용만으로는 판단이 어렵지만 3.3%로 세금처리를 한다고 하여 근로자가 아닌 것은 아닙니다. 3.3%로 세금처리를 하더라도 실제 회사의 지휘감독에 따라 일하고 출퇴근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고정급이나 기본급을 받는 사정 등이 있어 근로자성이 인정되는 경우라면 노동법이 적용이 됩니다.(쉽게 근로자를 채용하면서 3.3% 세금처리를 한다면 불법입니다.)
안녕하세요. 노성균 노무사입니다.
근로자는 사업자가 아니므로 3.3%공제는 위법입니다.
실무상 프리랜서일 가능성도 매우 희박합니다.
2번의방식으로 진행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도움되셨다면 👍버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