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덕망있는매사촌134
덕망있는매사촌134

목뒤에 갑자기 두드러기? 습진? 이 생겼습니다. (사진 확인 부탁드릴께요)

안녕하세요 오늘 오전3시에 근무하다가 갑자기 목 뒤에 뒷소매에 뭐가 들어간건지 물린건지 모르겠는데

퇴근 하고 보니까 목 뒤가 저렇게 생겼습니다.

뭔가를 잘못 먹어서 그런 걸까요..

최근에 복용한거라고는 멀티비타민, 코큐텐 말고는 없는데

병원에 갈 예정이지만 그래도 무슨 원인에 의해 생기는지 궁금해서 여쭤 봅니다.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특정한 음식에 의한 알러지 증상이라면 질문자님처럼 목 등의 특정 부위에만 증상이 생기지 않았을 것이며 훨씬 넓은 범위에 전반적으로 발생하였을 것입니다. 그보다는 모르는 물체에 의하여 접촉성 피부염이 생기신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부과에서 약을 처방 받으시어 복용하며 관리하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먹는게 원인일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 냉찜질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증상이 호전되면 놔두셔도 되고 내일 아침까지 호전 업스면 피부과 방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사진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으 어렵지만 현재 발진 상태는 습진보다는 두드러기에 가까워 보입니다. 두드러기는 음식물로 인한 경우나 국소적으로 목뒤에 알레르기를 일으킬만한 물질로 인해 접촉성 피부염이나 두드러기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피부과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보시고 필요시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곰팡이 혹은 습진에 의한 증상으로 보이며 상기 증상은 반드시 음식에 의해 발생하지는 않는 증상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습진은 가려움증, 물집, 홍반, 부종, 각질등의 증상을 보이는 여러 가지 피부 질환을 통칭하여 일컫는 말입니다. 흔하게는 접촉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화폐상 습진 등이 포함됩니다. 악화 요인을 철저하게 피하고 스테로이드 로션과 크림을 사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습진 부위에 2차 감염이 생긴 경우에는 항생제의 도포 및 항생제 복용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항히스타민제를 단기간 복용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두드러기의 원인은 물리적인 자극, 약제, 음식 등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서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원인이 규명된 경우 해당 원인을 피하는 것이 첫 번째 치료입니다.

    증상에 맞게 치료하는 것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고, 이후에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으면 단기간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병원 방문하여 상담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혹시 통증이 있다거나 하는 경우에는 대상포진 등 가능성 있어 보입니다.

    피부과 내원하여 진료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1. 두드러기

    2. 접촉성피부염

    3. 습진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일단은 스테로이드 연고바르고 지켜보자고 하실것같네요.

    베개같이 목 뒤에 닿는 것들 빨래 해주시면 좋겟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일단 습진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1. 급성: 선홍색의 붉은 반점이 생깁니다.

            진물, 물집, 피부융기 등의 증상이 주변 피부로 퍼집니다.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해서 수면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환부 열감과 부종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2. 만성: 피부 붉은 반점의 색이 좀 더 어두운 암갈색으로 변합니다.

            각질이 두꺼워 지며 건조함이 더 심해집니다.

           피부가 거칠고 두꺼워지는 증상과 색소침착 증상이 동반합니다.

    치료법은 근본적으로 습진을 유발하는 환경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병원 치료는 비정상적인 습진을 예전의 피부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지, 피부가 물이나 세제에 강하도록 해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물에 젖는 일을 할 때 비닐장갑안에 흰 면장갑을 착용하는 것은 피부가 짓무르지 않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보습이 매우 중요하므로 수시로 보습크림, 연고를 바르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