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31

곤충은 바다에서 살 수가 없나요??

유튜브를 보다가 해안쪽이나 갯벌에 사는 곤충은 있는데 바다에 사는 곤충이 없다고 합니다. 왜 바다에는 곤충이 살 수 없나요?모든 생물은 바다에서 왔다는데 곤충은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 서식하는 해양곤충은 세계해양생물등록소에 약 1600종이 등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해양곤충은 바닷물 에 사는 종류와 조수차에 따라 물 밖으로 노출되는 갯벌과 같은 곳에 사는 종류로 나누어 집니다. 바다소금쟁이류, 반날개류, 거저리류, 물땡땡이류 등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 해양에 서식하는 곤충류는 약 70종이 보고되어 있다고 합니다. 더 많은 해양곤충을 밝혀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바다에도 곤충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 경향신문 (khan.co.kr)


  • 김경태 전문가blue-check
    김경태 전문가23.01.31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물은 어느 환경에서든 긴 시간을 통해 진화를 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염분과 같은 환경적 방해 요소는 시간을 통한 진화로 해결 될 수 있는 요인으로 봐도 될 듯 합니다. (물론 필요성이 있을 경우죠)

    그리고 진화에서 생물의 변화 및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먹이와 천적입니다.

    바다는 이러한 입장에서 봤을때 곤충에게 너무 열악한 지역입니다.

    바다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달리 영양분이 없는 빈영양상태인 구역이 굉장히 많습니다. 특히 대양의 경우는 더욱 그렇지요 다른 생물들도 이런 곳에서 살기란 정말 힘듭니다. 곤충도 마찬가지고요. 이걸 접어두고라도 만약 영양분이 많은 지역일 경우도 먹이의 문제가 그대로 있죠

    우선 곤충의 먹이 관계를 보면 풀을 초식 곤충과 육식이 있겠지요. 우선조건으로 보자면 초식을 하는 곤충의 먹이가 풍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바다는 육지에 비해 식물군이 적습니다. 주로 식물군으로서 해야할 일들을 식물성플랑크톤이 해 주고 있죠. 플랑크톤은 너무 작고 이동성까지 갖추고 있고 수서곤충들이 이들을 섭식하는데는 문제가 많습니다. 그나마 해초숲 같은 지역을 가더라도 이곳은 갑각류 및 소형 어류의 산란 피난처로 여기에 곤충이 머무는 것은 호랑이 굴로 재발로 걸어 들어 가는 꼴이죠. 즉 먹이를 먹을 곳. 자신의 안식처가 바다는 육지에 비해 현저히 적습니다. 또한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빈영양공간이 많다 보니 영양분이 많은 지역은 어류 및 다양한 개체의 밀집도가 높아 천적 또한 매우 많지요.

    또한 진화적인 측면에서 물은 수압과 물에 의한 저항이 육지보다 매우 큰 곳입니다. 신체구조학적으로 빠른 몸놀림을 내기 위해서는 구조적 약점이 많은게 곤충이죠. 곤충의 일반구조적 특성에서 보자면 물속에서 빠르게 이동하면서 다니기위해서는 엄청나 칼로리를 소비하게 되고요. 먹이가 궁한 바다에서 이건 빈사될 확률이 매우 높지요.

    그래서 바다에서 사는 곤충들을 보자면 대부분 이동성이 크지 않아도 되고 적에게 잘 눈에 띄지 않는 심해등에 대부분 포진해 있습니다.

    즉 곤충이 바다에 별로 없는 것은 먹이, 그리고 천적...거기에 덧붙이자면 진화적 한계에서 그릇된 결과라도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바닷물속에서는 살지않고, 민물에서 사는 곤충은 있습니다. 수서곤충이라고도 합니다. 드물게 바다소금쟁이 등의 바다에서도 서식하는 개체도 있다지만 그나마도 물 위에 뜬 상태로 살아가는 정도지 바닷물은 이미 바다생활에 적응한 갑각류가 지배하고 있어서 바닷물 안에 사는 곤충은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