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부유한누에219
부유한누에219

윈더윅스의 정의를 알고싶습니다

흔히 말하는 유아기의 개도기간 윈더윅스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잘 있다가도 투정부리고 짜증을 내는데 안생기게 할 수 있는 비법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원더윅스 기간이란, 아가들에게서 성장통이 생길 때 통증이 일어나면, 자다가도 울거나, 소리치거나, 몸부림을 치기도 하는 시기입니다.

      또한 이앓이를 할 때도 이 기간에 해당이 되기 때문에 특별히 예방할 수는 없겠지만,

      아이를 따뜻하게 안아주시고, 아이의 팔과 다리를 주물러 주거나, 이가 나올려고 하면, 치발기의 도움을 받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원더 윅스(Wonder Weeks)란 아기가 정신·신체적으로 급성장하는 시기를 가리키는 말로, 평소보다 더 많이 울고 보채면서 부모를 힘들게 하는 때를 말합니다. 일종의 적응기로, 태아 때와는 다른 낯선 환경과 빠른 성장과정으로 아기가 두려움과 혼란을 느끼게 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 시기에는 딱히 해줄 수 있는게 없어요.. 아기도 크느라 얼마나 힘들겠습니까..

      그냥 모든 걸 내려놓고 많이 안아주고 달래주세요.. 조금만 더 크면 서서히 줄어드니 힘내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원더윅스의 경우 아이가 자랄때 급격한 성장을 이루어 나타나는 성장통으로 볼수있습니다

      안생기게는 할수없으며

      성장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원더웍스란?

      잘 먹고 잘 자던 아기가 어느 날부터 갑자기 밤에 자주 깨고 보채면서 우는 일이 늘어나고, 먹는 것도 양이 줄어들거나 거부해서 부모를 힘들게 하는 시기가 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아기는 정신적, 신체적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아기가 태어난 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특정 시기들을 원더윅스(Wonder weeks)라고 해요.

      *원더윅스 대처방법

      - 아기와의 친밀감을 유지하기 위해 스킨십을 자주 해주세요.

      - 이미 수면 교육을 성공했던 아기라도 원더윅스 기간 동안에는 불규칙한 수면 양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잠을 재울 때 편안하게 해 주도록 해주세요^^

      - 아기가 자주 보채고 우는 등 힘들게 하더라도 이 시기가 지나면 안정적인 기간이 다가옴을 인식하고

      아기가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편안하게 해주면서 사

      랑한다는 표현을 아낌없이 해주세요~^^*

      - 정신적 성장만큼 신체 성장도 급성장하므로 성장통을 예방하기 위해 마사지를 자주 해 주도록 하멵 좋아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윈더윅스란? 아기가 정신적, 신체적으로 급성장하는 시기를 가리키는 말로 평소보다 더 많이 울고 보태면서 부모를 힘들게 하는 때를 일컫습니다.

      낯선 환경과 빠른 성장으로 아기가 혼란과 두려움을 느끼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윈더윅스가 왔을 때 대처법으로는’

      많이 안아주고 스킨십도 자주 해주고 억지로 재우거나 먹이지 않고 아기가 불안함을 느끼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주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생후 2년의 기간 동안 약 10번의 윈더윅스가 온다고합니다.

      해당시기 아이들이 정신적, 신체적 급성장을 겪으며 두려움과 불안감을 느껴

      보채거나 부모를 더 찾게 되는데 평소 아이와 애착관계를 끈끈하게 형성하고 있다면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책도 많이 읽어주시고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스킨쉽을 많이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윈더윅스는 자연스럽게 생기는 현상이기 때문에

      아이가 심한 정도를 느껴지는 것이지 증상을 안생기게 하는 방법은 없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