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종신보험은 복리이자가 아닌걸로

종신보험은 최저보증이율 아닌가요?

왜 설명할때 복리이자3% 대라고 설명하시는 건가요?

약관이나 방법서, 요약서를 읽어봐도 복리라는 단어는 이런식으로 사용되는건 아닌거 같던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문효상 보험전문가
      문효상 보험전문가
      kb손해.신한.NH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종신보험은 최저보증이율 아닌가요?

      왜 설명할때 복리이자3% 대라고 설명하시는 건가요?

      => 종신보험의 이자는 대부분 확정 이자이며 이자가 이자를 붙는 복리이자 입니다. 다만 초반에 사업비를 많이 때기 때문에 납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신보험은 사망이라는 확실한 목적으로 가입하는 것이 아니면 이자를 보고 가입하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창 보험전문가입니다.


      최저보증이율과 복리라는 단어는 아예 개념이 다른 단어입니다.

      연복리 3%댜로 최저보증 해준다는 것이죠.


      즉. 경제상황 바뀌어서 이자가 떨어지게 되면

      아무리 떨어져도 3%미만으로는 보장을 해주겠다는 것이고

      그것을 연복리로 굴려주겠다는 것입니다.


      물론 종신보험은 높은 사업비수수료로 인해서

      일반 저축과는 달리 중도에 해지하면 손해를 봅니다.


      하지만, 장기간 잘 유지하셔서 해지환급률 100%가 되는 시기가 지나면

      그때부터는 연복리로 이자가 붙게 되죠.


      어차피 보험이라는 것은 중도에 해지할 것을 생각하고 가입하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저축으로 생각하고 가입하는 것도 아니죠.


      단순히 말하면

      내가 혹시라도 일찍 사망했을 때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내가 오래살았을때

      그동안 적립금 및 이자를 통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


      이렇게 생각하고 길게 가져가시면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즉, 연복리 이자로 최저보증 해주는 것으로 이해하심 되겠고

      햐지환급금 예시표 부근에 아마도 "연복리"라는 단어도 명시되어 있을겁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는 변동이율입니다. 은행처럼 고정금리가 아니란 말씀이시죠.

      현재의 보험사 이율은 최저보증이율 0.3% 변동금리는 1.5%입니다.

      종신보험 가입당시 설계사가 고정금리로 설명을 했다면 그건 설명을

      잘못한 겁니다.

      또한 복리이자를 받으시려면 가입하고 최소 10년은 유지를 하셔야 합니다.

      그 전까지는 납입한 보험료에서 얼마간의 적립금을 떼서 적립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도움이 되셧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