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화끈한도마뱀93
화끈한도마뱀9322.12.26

하늘에 구름 보통 하얀색이던데 이유는??

구름이 먹구름 말고는 거의 하얀색 구름들 많이보게되는데요 ~ 구름은 왜 생기는 거지요??? 그리고 구름 색상은 왜 하얀색이지 궁금합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6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원래 모든 구름은 흰색입니다.

    끓는 물에서 나오는 김을 보면 하얗죠?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구름의 흰색은 빛의 산란 과정에서 생긴 결과물이에요.

    여기서 산란은 빛이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에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가시광선 영역의 모든 빛이 고르게 퍼지면 그 빛의 합이 우리 눈에는 흰색으로 보입니다.


  • 태양열에의해 지표나 해수면이 뜨거워지면 수증기가 증발되고 저기압이 형성되어 상승기류가 발생되어 하늘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러한 수증기가 상층의 차가운공기를 만나게 되면 응결되어 미세물방울이되고 이것들이 뭉쳐저 구름이 형성됩니다.

    물이 투명한 이유는 모든빛을 통과 시키기 때문이며,

    구름이 하얀색인 이유는 모든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먹구름이 생기은 이유는 빛이 통과되지 못하기 때문에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상승기류에 공기 중 습기가 올라가 형성되게 됩니다.

    구름이 하얀색인 이유는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태양 빛은 대기를 통과하며 산란하게 되는데요, 이는 구름을 통과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물체의 색상은 해당 물체가 반사하는 색상인데요, 반사하는 빛의 양이 많으면 밝은 색으로, 흡수하는 빛이 많으면 어두운 색으로 보입니다. 구름은 대부분의 빛을 반사하고 있어 하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만일 구름이 두꺼워져 흡수하는 빛의 양이 많아지면 검은 색의 먹구름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있는 모든 물체는 태양빛의 반사, 굴절, 산란에 의해서 색이 결정됩니다. 구름 역시 수증기가 응결되어 티양빛에 의해서 흰색으로 보이는겁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비교적 따뜻한 공기가 주변보다 가벼워 상승할 때에 형성된다.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어 수증기가 매우 작은 물방울로 응결된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밀집되어 있어서 햇빛이 깊은 곳까지 통과하기 전에 반사되므로 구름이 희게 보인다



  • 보통 구름이 하얀 이유를 설명 할 때 미 산란(Mie Scattering)이 많이 언급 됩니다.

    미 산란은 입자의 크기가 빛의 파장과 비슷할 경우,

    빛의 파장보다 입자의 밀도나 크기에 따라 산란이 결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구름이 하얀 색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하얗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