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WINTERFELL
WINTERFELL

의료적 관점에서 문제가 되는 '고열'은 몇 도 이상의 체온을 의미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6
기저질환
없슴
복용중인 약
없슴

인플루엔자, 코로나19바이러스, 각종 세균 감염이나 질병에 노출되면 우리의 체온이 올라가고 고통을 경험하게 됩니다. 의료적 관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어 치료를 요하는 '고열'은 몇 도 이상이 체온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의학적으로 38도 이상 체온을 열로 보며 열을 떨어뜨리기 위한 해열제 복용이 필요하겠습니다.

      39도 이상의 열을 고열로 보며, 40도가 넘어갈 경우 열성 경련을 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 해열을 위한 처치가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고열은 38도 이상을 의미합니다. 물론 조금씩 기준은 다르기는 합니다. 미열은 37.5 이상을 의미하구요. 고열이 있다는 것은 열을 나게 하는 문제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열 자체를 낮추는 것도 필요하지만 결국 원인 질환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지요. 감기라면 그냥 지켜보는 것이지만, 고열의 원인이 폐렴이나 신우신염과 같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면 항생제가 필요한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의학적으로 구강체온이 37.7도가 넘으면 임상적으로 발열이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레퍼런스마다, 의사마다 기준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보통 고열이라고 한다면 38도 이상의 체온을 의미합니다. 특히 응급이라고 표현할 정도의 고열은 39도 이상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기준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보통 39도 이상을 고열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병원마다 조금씩 다르 ㄹ겁니다.

      진단에는 신체진찰, 각종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발열의 기준은 37.8도로 38도 이상 증가하는 경우, 혈관이 확장하면서 두통, 발한, 근육 통증

      등의 증상을 느끼게 되고 열이 나는 만큼 체내 활성도가 증가하여 에너지 소모가 심하여 몸이

      무기력해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문제는 40도 이상의 고열 부터는 인체의 근육 세포 역시 파괴될

      수 있고 뇌세포 역시 세포막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의식 소실과 횡문근 융해증으로 인해 신장

      기능의 악화를 보일 수 있으며 뇌부종이나 신장 기능의 손상은 영구적인 몸의 기능 손상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고막이나 구강, 액와체온같이 심부체온을 측정했을 때 38도를 기준으로 고열을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