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발생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한국의 미온적 대처가 무엇인가요?
기사들 살펴보면 한국이 주요 선진국보다 기준금리를 가장 먼저 올리기 시작했으나 미온적인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했다고 하는데, 한국 초기 금리 인상과 다른 나라의 금리 인상은 몇퍼센트이고, 왜 그 수치가 미온적이라고 판단되는지에 대해도 설명부탁드립니다 왜 금리 인상을 공격적으로 해야되는지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다른 주요 선진국에 비해 먼저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는 했지만, 인상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뎠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022년부터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서며 기준금리를 급격히 올렸습니다. 반면 한국은행은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한국은행의 정책이 '미온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될 가능성을 높이고, 시장의 기대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금리 인상을 공격적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가계의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기업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켜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될 경우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고착되어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초기 단계부터 강력한 통화 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5%가 넘는 금리를 보였으나
우리나라는 3.5% 정도의 금리꺼자 올렸었꼬
아무래도 우리나라는 당시에 물가가 상당폭 올랐기에
금리를 올렸어야 했으나 가계부채 및 기업 등의 부채로 인하여
이에 금리를 올리지 못하였기에 미온적 대처라고 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금리를 인상했으나 다른 주요국에 비해 인상 폭이 작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은 2021년 0.5%에서 2022년까지 3.5%로 올렸지만, 미국은 같은 기간 동안 0.25%~5.25%까지 급격히 인상했습니다. 이로 인해 한미 금리 차이가 벌어졌고 국내 경제는 물가 상승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했습니다. 공격적인 금리 인상은 물가를 안정시키고 자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이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기준금리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다가 2021년 8월에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금리 인상은 0.25% 포인트씩 이루어졌으며, 주요 선진국들이 더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린 반면 한국의 인상 폭은 상대적으로 작아 미온적이라고 판단됩니다.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한 이유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 구매력을 보호하고, 기업의 투자 및 소비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이후 한국의 인플레이션 대처가 미온적이라는 평가의 배경은 주로 금리 인상 속도와 폭에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주요 선진국 중에서 가장 먼저 기준금리를 인상했으나, 그 인상 폭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한국은 초기 금리 인상을 0.25%씩 점진적으로 진행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같은 다른 선진국들은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지면서 더 공격적으로 0.5%에서 0.75%까지 한 번에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한국의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가 제한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금리를 더 빠르고 큰 폭으로 인상하지 않으면, 시장에서는 여전히 자금이 유동성 있게 흐르며 물가 상승을 막기 어렵게 됩니다. 반면, 다른 국가들은 보다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을 강하게 억제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공격적인 금리 인상의 필요성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지고, 경제 불안정성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여 소비와 투자 수요를 억제하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한국의 미온적 대처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은 당시 가계 부채가 문제가 되어서 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하지 못했습니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 인플레이션에 가장 효과적인 대처방법이
기준 금리를 높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