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표적 전자기업 도시바가 상장폐지를 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번에 일본의 대표 전자기업 도시바가 상장폐지를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도시바가 상장폐지를 하게 된것인지 그 이유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도시바는 2015년 4월 회계 부정이 발각되면서 뒤집어졌다. 이듬해인 2016년에는 미국 원자력발전소 자회사인 웨스팅하우스(WH)가 거액의 손실을 내면서 경영파탄에 빠졌다. 이로 인해 2년 연속 채무초과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이자 60개 해외 투자펀드로부터 6000억엔 규모의 증자를 받았다. 하지만 이는 악수가 됐다. 증자를 맡은 해외 펀드 대주주들과 도시바 측이 경영 면에서 격렬하게 대립하게 된 것이다. 주주의 의향으로 경영 전략이 좌우됐다. 도비사는 2021년 11월 기업가치 향상을 위해 그룹을 3개로 분할하겠다 했으나, 대주주 반발로 2분할로 수정했다. 2022년 3월 임시 주주총회에서는 이 방안도 부결됐다. 결국 막다른 곳에 직면한 도시바는 비상장화를 포함한 재건 방안을 공모하겠다는 방침으로 전환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도시바는 2015년도 4월에 회계 조작이 발각되면서 경영난이 시작되었는데 2016년도 자회사인 웨스팅하우스가 거액의 손실을 내면서 경제적 위기를 겪게 되었고 이후 해외펀드 대주주들과 도시바 경영진측의 대립으로 인해서 결국 일본기업파트너스에 의해서 인수되어 상장폐지후 경영재건을 목표로 하게 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도시바가 상장 폐지 되게 된것은 부정 회계 문제 떄문 입니다. 2015년 부정회계 문제가 발각된 뒤부터 실적이 악화됐는데 재무기반의 강화를 위해 2017년 제삼자 할당증자로 약 6000억 엔을 조달했는데, 그때 다수의 액티비스트(モノ言う株主)가 주식을 맡은 것으로 주주와 경영진과의 대립이 표면화됐고 결국 회사 매각으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도시바가 2015년에 분식회계 사건이 터지면서 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에더, 2017년엔 원자력발전의 원천 기술을 가진 미국 자회사 '웨스팅하우스'가 건설 중이던 발전소의 기술 결함 문제로 천문학적인 지체보상금을 지급하게 되면서 자본잠식에 빠진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 대표적인 대기업인 도시바의 상장폐지 주 요인은 결국 경영난입니다.
도시바는 2015년 4월 회계 부정이 발각되어 큰타격을 입었습니다. 이듬해인 2016년에는 미국 원자력발전소 자회사인 웨스팅하우스(WH)가 거액의 손실을 내면서 경영파탄에 빠졌습니다.
이로 인해 2년 연속 채무초과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이자 60개 해외 투자펀드로부터 6000억엔 규모의 증자를 받았지만 결과가 좋지 못했습니다. 증자를 맡은 해외 펀드 대주주들과 도시바 측이 경영 면에서 격렬하게 대립하게 된 것입니다. 주주의 의향으로 경영 전략이 좌우됐습니다.
도비사는 2021년 11월 기업가치 향상을 위해 그룹을 3개로 분할하겠다 했으나, 대주주 반발로 2분할로 수정했고 2022년 3월 임시 주주총회에서는 이 방안도 부결됐습니다. 결국 막다른 곳에 직면한 도시바는 상장폐지하고 기업 재건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회계부정과 미국 원전 자회사의 거액 손실 등으로 경영이 악화되었고 사모펀드의 인수 이후 도시바의 경영을 정상화하고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사모펀드가 상장폐지를 추진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몰라서 찾아보니 5년간 2200억 엔의 이익을 부풀린 분식회계가 2015년 들통나 가파르게 몰락의 길을 걸었고 2016년에는 미국 원자력발전소 자회사인 웨스팅하우스(WH)가 거액의 손실을 내면서 경영파탄에 빠졌다고 하네요 그 후 구조조정을 했지만 올해 3월에 매각되었고 상장폐지후 재상장을 목표로 한다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도시바는 반도체 산업에서
기술력에서 경쟁에 밀렸고
분식회계 등으로 인하여 결국 상장폐지하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