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아이들은 처음에 싱거운 과자도 잘먹다가 나중에는 잘 먹지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아이들은 처음에 싱거운 과자도 잘먹다가 나중에는 잘 먹지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예전에는 뻥튀기나 이런거 엄청 좋아했는데, 점점 크면서 간이 배고 자극적인 음식을 먹어서 그런가

도통 간이 잘 안된 음식은 안먹으려고 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자라면서 분유나 이유식등 간이 없는 음식들을 먹다가 점점 유아식,일반식으로 바뀌면서 간이 있고 단 음식들을 먹다 보니 심심한 음식들은 맛이 없다고 생각해서 안먹는 것 같아요.어릴 수록 가능하면 간이 세지 않는 음식으로 먹이고 서서히 간을 추가하도록 하고 너무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것이 아이들의 간강을 위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들은 맛에 대한 취향이 미숙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다양한 맛을 좋아하고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감각기관이 발달하면서 새로운 맛에 대한 호기심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간이 많이 든 음식을 장기간 먹으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이

      간이 적게 든 건강한 음식을 선택해 아이에게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가끔씩 간이 많은 음식을 먹어도 괜찮지만,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유식을 시작할 때는 간이 쎄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음식을 충분히 섭취 할 수 있었을 것 입니다.

      즉, 분유의 맛이 밋밋하기 때문에 처음 이유식을 시작할 때는 간이 되어 있지 않아도 아이들이 먹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유식 중기에 들어서면 어른들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먹기 가능한 시기로 간이 조금씩 들어가기 때문에 간이 들어있지 않는 음식을 제공하면 아이들이 먹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생활을 하면서 자극적인 맛을 접하게 되고 싱거운 과자보다는 자극적인 맛을 좋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간이 배지 않은 음식을 서서히 거부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아이도 사람이기 때문에 점점 더 맛있는 것을

      찾는 것은 본능입니다. 다만 아이들은 성인과 달리 아직 미성숙한 존재임으로

      너무 간이 쌘 음식을 주기보다는 조리시 조금 약하게 간을 하시어 아이 건강을

      챙기시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글의 내용대로, 아이들은 처음엔 건강식인 밍밍한 음식을 먹었지만, 간이 들어간 음식에 맛을 들이면,

      점 점 간이 쎈 음식들을 찾게 되므로,

      최대한 간이 들어 가지 않는 음식을 먹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른도 간이 된 음식을 먹다가 싱겁거나 간이 적게된 음식을 먹으면 익숙하지 않고 맛이 없다느끼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 생각 됩니다.

      이미 간이 충분한 음식을 먹어봤는데 다시 돌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건강을 위해서는 차차 간을 약하게 하거나 덜 자극적인 음식들에 익숙해 지도록 관리를 잘 해야 커서의 식습관이 바르게 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처음에는 싱거운 과자도 잘 먹다가 나중에는 잘 먹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맛보기를 하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발견하게 되고, 그것을 더 자주 먹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음식을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더 자극적인 음식을 더 많이 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음식들은 간이나 설탕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체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들은 좀 더 건강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처음에는 좋아했던 음식을 나중에 안먹는 경우는, 그때의 취향과 성격 등이 변화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음식에 대한 취향이 계속해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부모님들은 자신의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알고, 그것을 계속해서 제공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아이들은 더 건강하고 맛있는 음식을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속에 답이 있네요.

      미각이 발달하면서 맛을 알게 되면서

      아무래도 심심한맛보다는 간이된 맛이아이의 입에도 더 맛있으니

      순한 음식은 안먹으려고 하는걸거에요 ^^

      간이 안된 음식을 아예 안먹일수도 없고

      그렇다고 너무 쎄게 먹일수도 없으니

      적당히 간된 음식을 먹이시고 자연의 건강한 음식을 많이 접하고 잘 먹을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도 그만큼 컷다는 것이예요

      아이가 간이 된 것을 먹다보니 이제 싱거운 음식에 대하여

      흥미가 떨어지고 맛이 없다고 느껴져 잘 먹지 않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간이 된 음식에 익숙해지다보니

      싱거운 과자를 피하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자주 보이는 현상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출생 직후에도 여러가지 맛을 구분 할 수 있지만 성장하면서 점점더 섬세해지게됩니다.

      여러 맛을 느끼고 접하면서 어느정도 간이 된 음식을 찾게될 수 밖에 없어요.

      지나치게 달거나 짠음식들은 아이들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