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환한물소134
환한물소134
23.01.16

매파 적인 연준의 금리 인상 정책은 언제까지 이어질까요??

연준에서 매파적인 금리 인상 정책으로 인해 세계 경제가 긴축 모드로 돌입했습니다.

우리나라도 미국간의 금리차가 벌어지지않게 이번에도 0.25%올리면서 3.5% 기준금리에 도달하였습니다.

이는 저같은 대출이자 갚는 가계에는 큰부담인데요.

금리안정화와 하락은 언제쯤 이어질것으로 예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
    23.01.16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파월의장의 매파적 발언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예상은 금리인상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라고 예상하는 시각이 많습니다.

    조금 더 기다려보아야 하지만 적어도 상반기에는 금리인상을 염두해두되 하반기에는 어느정도 금리에 대한 정책이 바뀌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기본적으로 5%까지의 금리인상은 대부분 시자에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단, 이후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에 대한 의견은 분분한데 일부 전문가는 미국의 금리를 5.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단, 이는 결국 미국의 물가상승률과 경기침체 등의 경제지표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미래 경기의 침체 즉, 리세션이 예상되고, 물가 안정 수준이 적정 수준까지 내려왔다고 판단될 때 금리 인상을 멈출 것이고, 금리 동결을 거쳐 리세션을 피하기 위한 금리 인하까지도 이어질 것입니다.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2월애 있을 FOMC에서 0.25% 인상이 유력한 상황이고, 12월 점도표에 의하면 0.75% 추가 인상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다만 경제상황에 따라서 변동이 높기 때문에, 미국의 고용상황, 물가지수 등을 지켜봐야하는 상황입니다.확실한 것은 작년과 같은 급한 금리인상은 없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