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현대를 살고 있지만 옛날처럼 할아버지 할머니 부모님과 자식 손주들이 다 모여 살거나 인근에 모여 살게 되면은 경제적으로 어떨까요
우리가 현대를 살고 있지만 옛날처럼 할아버지 할머니 부모님과 자식 손주들이 다 모여 살거나 인근에 모여 살게 되면은 경제적으로 어떨까요
대가족이 함께 살거나 인근에 모여 사는 것은 여러 경제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주거비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여러 세대가 주거 공간을 공유하면 주거비가 낮아지고,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증가합니다.
둘째, 육아 및 교육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부모와 조부모의 도움을 받아 자녀를 돌보면 관련 비용이 줄어듭니다.
셋째, 노인 복지 비용에서도 이점이 있습니다. 노인이 자녀와 함께 살면 복지 시설 이용 비용이 감소하고 건강과 안전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가족 간의 유대감도 강화되어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서로의 활동을 지원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가족이 함께 사는 것이 항상 긍정적이지는 않습니다.
갈등이나 불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의 자유와 독립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의 경제적 상황이나 생활 방식이 다를 경우 오히려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가족의 공동 거주에는 장점과 함께 고려해야 할 다양한 측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가족들이 모두 모여 살기에 폐쇄적으로
변할 수도 있는 등 이에 따라서 경제적으로는
긍정적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가족이 함께 살거나 가까이 모여 사는 생활 방식은 경제적으로 여러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거 비용을 공유함으로써 개별 가구의 주택 구입 또는 임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식비, 공과금, 생활용품 구매 등에서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어 전체적인 생활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육아와 노인 돌봄에 대한 부담도 가족 구성원들이 나눠 맡을 수 있어, 외부 서비스에 의존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활 방식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독립성 측면에서 현대인들에게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이 발생할 경우 경제적 이점보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더 클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직장이나 학교와의 거리 문제로 인해 교통비가 증가할 수 있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대가족 공동생활의 경제적 이점을 최대화하면서도 개인의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옛날 처럼 3대가 모두 모여 산다면 경제적으로 어떻게 될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3대가 모두 모여서 경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면
여러 면에서 경비가 절약되어질 것입니다.
물건을 사도 더 큰 단위로 저렴하게 사서 나눠쓰면 되고
음식도 같이 하면 버려지는 것이 적어지게 되고
결정적으로 주택 문제도 거 쉽게 해결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처럼 집값이 비싸고 소득이 적을 경우에는 서로 아껴서 나가는 비용들을 나누어서 낼 수도 있습니다 회사에서 점심을 도시락을 싸 간다고 할 때 혼자 밥과 반찬을 다 준비하는 것보다는 한 명은 밥을 담당하고 한 명은 구글 담당하고 그런 것처럼 할 수도 있고요 오히려 근처에 모여 살게 되면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스토킹 범죄라던가 강도라든가 이런 것들에서 많이 좋아질 수도 있겠지요
안녕하세요.
옛날처럼 다같이 모여 살면 일단 재미는 있을 거 같습니다.
다만 며느리 입장에서는 입장이 다를거 같긴 하네요.
경제적인 면에서는 아무래도 대가족이 모여 살다보면 소비가 더 늘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생활 패턴이 지금보다는 더 많은 소비가 일어날거 같습니다.
조부모님들이 손주들에게 맛있는것도 많이 사주려고 하실거고 좋은거 입히려고 하실거고 잘 지내라고 이것저것 사주실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