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3.08.25

저금리 시대가 조만간 또다시 찾아오게 될까요?

얼마전까지 10여년간 저금리 시대가 있었는데요

최근에는 금리가 많이 높아졌죠. 조만간 경기가 회복하게 되면 또다시 저금리 시대가 찾아오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과 같은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요

    그렇기 때문에 경기침체가 발생한다면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서 금리인하를 해야하기 때문에 경기의 침체 상황이 발생한다면 과거와 같은 저금리 기조가 다시 올수도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Fed 파월의장의 발언와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의 발언을 종합해보고, 또한, 인플레이션 추이를 고려해보면 당분간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조만간은 아니구요.

    정말 빨라도 내년 하반기부터일 것입니다.

    이유는 지금 현재 물가가 많이 내려온 상태이지만

    기저효과 사라진 상태에서 앞으로는 긴축스탠스이지만 정부가 국채를 대량발행하여 돈 풀고 있기 때문에

    은행파산 등 경제가 심각해지는 상황까지 가야 전적으로 떨어지면서 금리도 내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계속된 고금리가 지속될 수는 없습니다.

    당연히 향후 경기가 침체된다면

    다시 저금리 시대가 찾아올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앞으로 2010년대와 같은 저금리의 시대는 쉽게 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예전보다 물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중국이 저렴한 인건비로 제품을 생산하고, 선진국이 이 제품을 소비해주는 등 국제적 동조이 힘입어 생산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물가 기조가 이어졌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 또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경기 확장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동조체제에서 금이가고 경제 블록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어 과거와 같은 저물가는 기대하기 힘들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금리 시대는 당분간 어렵다고 봅니다.

    아직도 자산의 거품이 심각하여 조정이되어야 하고, 특히 미국에서 한차례 더 금리인상후에 최소 1~2년은 금리 동결상태에 있을 전망이 있어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물가가 잡히고 금리 인하가 시작된다면 우리나라도 그만큼 저금리로 내려갈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데요.


    다만 언제 인하가 시작될지 아직은 미지수라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도움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에는 금리가 많이 높아졌죠. 조만간 경기가 회복하게 되면 또다시 저금리 시대가 찾아오게 될까요?

    - 향후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경제라는 것도 싸이클이 있습니다. 상승시가 있다면 하락기가 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