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검붉은코브라279
검붉은코브라279
24.04.06

계란을 삶을때 소금을 넣고 안넣고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예전부터 그래왔기때문에 계란을 삶을때 소금을 넣고 요리를 했는데요. 소금을 넣고 안넣고가 어떤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24.04.07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은 물의 끓는점을 올려 흰자가 빨리 익도록 해 흘러나오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끓는점이 올라가는 정도가 미미한 편이기 때문에 식초보다 덜 효과적이긴 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계란을 삶을 때 소금을 넣는 것은 소금이 물의 끓는점을 높여주어 계란이 더 빨리 익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소금을 넣으면 계란 껍질이 깨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삶아낸 계란의 식감을 조절해줄 수 있습니다. 소금을 넣으면 계란이 더 쉽게 껍질을 까는 것도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초·소금, 둘 다 깨진 껍데기 틈 새어 나오는 달걀 방지해

    소금과 식초 둘 다 냉장고에 있던 달걀을 급하게 삶아야 할 때 유용하다. 차가운 달걀을 바로 삶으면 온도 차로 달걀 껍데기(난각)가 깨질 수 있는데, 소금과 식초는 깨진 껍데기 틈 사이로 달걀이 삐져나오는 것을 막아준다. 경희대 조리 푸드디자인학과 윤혜현 교수는 "단백질은 평균 전하가 0이 되는 등전점에 잘 응고된다"며 "달걀 단백질인 오브 알부민 등전점은 pH 4.5라, 식초를 넣어 달걀 끓는 물을 산성으로 맞춰주면 흰자가 빠르게 응고돼 껍데기가 깨져도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식초가 아닌 레몬즙을 넣어 pH를 낮춰도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양팀 김우정 팀장은 "소금은 끓는 점을 올려 흰자가 익는 시간을 앞당기면서 깨진 달걀 껍데기 밖으로 흰자가 나오는 것을 막아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