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산업화 시대의 풍경을 그린 시 작품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산업화는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이기도 한거 같아요~ 예전에 먹고 살기 힘든 가난에 허덕였다 산업화 이후 우리나라가 굶지 않고 살아가게 되었으니까요~ 하지만 산업화로 환경이 파괴되고 빈부격차가 심해진 것도 사실이잖아요~ 산업화 시대의 풍경을 그린 시 작품은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산업화 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성북동 비둘기가 있습니다. 자연환경 난개발로 인한 파괴를 다룹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경제발전으로 인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농촌의 인력들이 도시의 공장과 회사들로 이동하면서 농촌의 삶이 피폐해지게 되었는데요, 경제가 발전하면서 농촌에서 농사를 통해 얻는 이익으로는 젊은 사람들이 경제생활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청년들이 도시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인력이 부족해진 농촌의 경제는 더욱 망가지는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그린 시가 '농무(신경림)'입니다. 농민들의 마음의 고통과 울분을 잘 표현하였습니다.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가 당시 농민들의 삶을 표현한 대표적인 시구입니다.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한 그리고 원래 도시에 있었던 많은 사람들이 노동자가 됩니다.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먹고 살기 위해 공장과 기업에 취직한 사람들은 적은 임금과 과도한 노동에도 반발하지 못하게 됩니다. 반발하면 바로 다른 사람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노동자의 현실을 표현한 시가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입니다.

    가난한 노동자의 슬픔에 대해 노래하는 시입니다. '삽자루에 맡긴 한 생애', '먹을 것 없는 사람들의 마을' 등의 시구가 노동자의 표현한 대표적인 시구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1970년대 산업화 사회에서 노동자들은 소외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정희성 작가의 '저문 강에 삽을 씻고'에서는 이러한 소외된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시 중에 대표적인 작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