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1.25

기존에 들고 있는 실손보험 4세대로 전환시 장단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기존 2012년에 들고 있던 보험을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면 안 좋다고 하던데 4세대로 전환을 하는게 낫다고 하던데 4세대로 전환을 했을때 장단점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주연 보험전문가blue-check
    이주연 보험전문가
    키움에셋플래너
    23.12.23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 4세대 실손의료비는 보험료가 낮지만 보장율이 줄어듭니다.

    - 또한 연간 비급여 청구에 따라 보험료가 인상 또는 인하 될수 있습니다.

    - 보험료가 저렴한 이점이 가장 크면 건강하여 병원에 가실 일이 없다면 전환하시는 것이 보험료 측면으로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형익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실손의료비의 장점은 보험료가 합리적이다는 것이겠죠.

    하지만 자기부담금 금액에 있어서는 12년도 가입한 실비와 비교해서 4세대 실손의료비가

    내가 부담해야하는 금액이 더 큽니다.

    그리고 4세대 실손의료비는 내가 청구를 많이 하게된다면

    개별 할증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장점으로는 보험료가 저렴합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이전 세대에 비해 보험료가 약 10%~70% 정도 저렴하게 책정되었습니다.

    비급여 사용이 없으면 보험료가 할인됩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1년간 비급여 치료에 대한 보험 청구를 한 번도 하지 않았다면 다음 연도 보험료를 매월 5% 할인해줍니다.

    이는 병원을 자주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유리합니다.

    단점으로는 자기부담금이 높습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급여 치료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20%,

    비급여 치료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30%로 책정되었습니다. 이는 이전 세대에 비해 자기부담금이 평균 10% 정도 높아졌다는 의미입니다.

    비급여 치료를 많이 받으면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모든 비급여 항목을 특약으로 분리하였습니다.

    비급여 보험금을 1년에 100만 원 이상 지급받으면 보험료가 2배가 되고, 300만 원 이상 지급받으면 4배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선택은 본인이 하는것입니다 2세대는 본인부담금이 적고 비급여 항목이 따로 구별되어 있지않으며 4세대는 비급여항목이 금액과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보험료아 차이가 있는만큼 보장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것이고

    단점으로는 보험금 청구시 자기부담금이 높아져 보상되는 금액이 감소한다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장점 보험료가저렴하고 비급여 청구분이 갱신시 개개반영됨

    단점 보장에서 자기부담금이 높아짐

  • 안녕하세요. 전유솜 보험전문가입니다.

    장점은 보험료가 더 저렴하단것이고

    단점은 자기부담금이 많고 보장범위가 비교적 작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찬찬히 비교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당장 조삼모사라고 보험료 낮아지는 거 외에는 없습니다

    그러나 낮아진후 1년만에 두 배가 올랐다는 의견이 있네요 이곳 회원중에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장점은 보험료가 저렴해집니다.

    단점은 자기부담금이 급여20% 비급여 30%로 늘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형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 전환시 장점은 보험료가 저렴해지는것이고


    단점은 본인부담금이 지금은 10% 일텐데 20~30%로 상향되는게 가장 큰 차이점이 아닐가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귀하께서 가입하신 실손보험은 2세대이며, 3~5년 주기로 보험료가 가파르게 인상되다보니 보험료가 저렴한 4세대 실손으로 갈아타는 분들이 많습니다. 4세대 실손은 보험료가 저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진료비 본인부담비율이 10~20% 정도 더 높고, 당해년도에 보험금 수령액이 많을 경우 다음년도에 보험료가 최대 3배까지 인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예전 실손은 본인부담 상한액을 두고 있으나, 4세대에는 상한액이 없으며, 매년 갱신될 뿐만 아니라, 만일 5세대 실손이 나오게 되면 유불리에 상괁없이 자동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단점들이 있습니다. 장단점을 잘 판단해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로 전환시 장점은 보험료가 저렴하며 비급여를 적게 사용할시 할인되기도 합니다..

    단점은 급여 20%.비급여30%로 자기부담금이 많아 보장금액이 적고 비급여를 많이 사용시 내년7월부터 보험료가 최대 300%할증되며 통원의료비는 회당 20만원.5년 재가입으로 5년 후 보장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