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시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영향이 있나요?
미국 금리가 인상되어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이 안좋다고 걱정들을 많이 합니다.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 있는가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우리나라에게도 기준금리 인상을 강요하는 압박이 되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걱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 우리나라가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따라 올리지 않게 되면 발생하는 것은 '환율의 상승'입니다. 쉽게 예를 들어서 생각하신다면 1금융권이 4.5%의 예금금리를 제공하고 2금융권이 3.25%의 예금금리를 제공한다면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고 금리를 높게 주는 1금융권에 자금을 투자하려고 하게 됩니다. 즉 미국에 대한 투자수요가 증가하게 되면서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곧 환율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우리 경제에 좋지 않은 것은 '인플레이션의 상승' 즉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대부분의 원자재가 수입산으로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입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서 결국에는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것입니다. - 결국 우리나라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환율의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방어를 위해서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압박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지금도 고금리로 인해서 고통받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금리의 상승은 국민들의 삶을 더 힘들게 만들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에게 악영향을 준다고 이해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 미금리 인상시에 한국 뿐만아니라 전세계 영향을 줍니다.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지표에 큰 영향을 주며, 대출금리 상승으로 - 주택 거래 지수는 급감합니다. 그리고 물가는 어느정도 하락하나 소비자 판매지표 둔화로 성장율에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과 한국 간의 물가와 경기 상황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기준금리 격차는 용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금리인상 충격에 대해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우리 경제에 경기 둔화가 그대로 파급되는 반면,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경우 일시적인 물가상승 외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