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진심감사하는시금치
진심감사하는시금치

비상금과 생활비의 경우 어떻게 분리해서 운영하면 좋을지요?

급할 때 비상금과 매달 고정비, 생활비가 한 계좌에서 뒤섞이게 되면 지출 통제가 어렵더라고요. 통장이나 카드 분리에서부터 자동이체 날짜 배치 등 실전에서 유지하기 쉬운 방법이 궁금합니다. 남들은 뭔가 철저하게 지출도 딱딱 알맞게 하고 통장 분리도 잘해내던데 저는 일하면서 그렇게 하기가 여간 쉬운게 아닌거 같더라고요. 비상금은 몇 개월 치 수준이 현실적인지, CMA,정기예금,입출금 통장 중 어디에 두면 접근성과 이자가 균형 잡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비상금과 생활비 운영에 대한 내용입니다.

    비상금은 절대로 원금 손실이 나지 않는 예금, 적금, 파킹 통장 등으로 분리해서 운용하시고

    생활비 역시 다른 통장에 넣어서 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비상금은 일반적으로 3개월에서 6개월치 정도의 생활비 수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원칙은 두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완전한 자동화시스템을 만들고 수동으로 관리하려고 하면 100% 실패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는것입니다. 둘째는 심리적 분리로, 각 돈의 용도를 물리적으로 나누어 보이는 돈만 쓰게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우선 급여 허브통장으로서 매월 소득이 들어오는 계좌는 자동으로 0이 되도록 알아서 미리 구축된 통장으로 자동으로 나가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생활비통장을 두개로 나눠서 하나는 고정비 하나는 변동비 통장으로 이 허브통장에서 자동으로 나가서 구축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후 비상금통장은 월 생활비 6~12개월치를 넣어놔서 절대 건드리지 않고 일시적 지출이 나갈때만 쓰도록 해야합니다. 그리고 필요시 목적자금 통장도 구축하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비상금통장은 기본적으로 CMA통장과 같은 파킹통장에 예치하시고 관리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상호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금 통장과 소비통장을 둘로 나누셔야 합니다.

    비상금통장으로 월급이 들어오고 매달 정해진 지출을 소비통장으로

    자동이체를 걸어둡니다.

    그리소 신용카드가 아닌 체크카드로 쓰셔야 지출통제가 가능해집니다.

    비상금은 월금의 2~3개월 정도로 준비해주세요

    아래 그림을 보고 그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금은 생활비랑 꼭 떼어놓는 게 좋습니다. 같이 두면 정말 필요할 때 이미 다 써버린 경우가 생기거든요. 보기에 제일 간단한 건 생활비 통장 따로, 비상금 전용 통장 따로 두는 방식입니다. 자동이체일도 일부러 며칠 차이 나게 두면 지출 흐름이 한눈에 보입니다. 비상금 규모는 보통 최소 3개월 치 생활비라 말하긴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1~2개월만 있어도 꽤 든든합니다. 접근성 생각하면 CMA 같은 계좌가 편하긴 한데, 쓰기 불편하게 만들어야 덜 건드리니까 일부는 정기예금에 넣고 일부만 입출금 통장에 두는 게 괜찮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각각의 목적을 확실히 정해놓고 계좌를 아예 분리해서 쓰는 것입니다.

    비상금은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해 최소 3~6개월치 고정 지출을 파킹 통장처럼 언제든 뺄 수 있으면서도 일반 통장보다 이자가 더 붙는 곳에 보관하고, 생활비는 주거래 입출금 통장에 두고 매달 월급이 들어오면 비상금 통장으로 보낼 금액을 자동 이체 설정해두는 방법이죠.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