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공손한거북이
공손한거북이

이집트의 Min이라는 신은 왜 항상 발기가 된 상태로 묘사된 건가요?

이집트의 Min이라는 신은 풍요의 신이라고 하는데요.

근데 이집트의 벽화 같은 것을 보면 항상 발기가 된 상태로 그려져 있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Min)은 이집트 신화에서 풍요와 생산을 담당하는 신으로, '음경의 군주', '거대한 남근을 지닌 황소'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다산으로 대표되는 생식력이 지배와 남성성이라는 이중의 역할을 나타낸 것으로, 달리 남성적 원리를 구현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민은 동쪽의 사막과 호루스와 혼합되었으며, 신화에서 통치자와 도시의 수호신으로 여겨졌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발기된 남근을 생식력과 풍요의 상징으로 여겼습니다. 민 신은 풍요와 생식력을 관장하는 신이기 때문에 발기된 모습으로 묘사되어 그의 힘을 강조하고 풍요로운 삶을 기원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집트의 각종 남신들과 대부분 파라오들은 거근으로 묘사되었습니다

      중세 유럽에도 코드피스라 하여 국부를 강조하는 장신구가 있었고

      일본에는 아직도 거대한 남성기 모형을 만들어 즐기는 축제가 남아있쬬

      이런 것을 통틀어 음장설화 또는 거근신앙이라 부르며

      강한 남성성=강한 생산력=좋은 능력 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당연한 일 이었습니다.

      다만 과도한 성욕이 이성을 방해한다 여긴 고대 그리스나

      정절을 중요시여긴 기독교등 반대되는 문화가

      나중에 생겨나기 시작했고

      현재엔 기독교의 영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남성기를 너무 강조하면 부끄럽게 여기는 문화가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