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무빙캣
무빙캣23.08.31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과 심장 두근거림

나이
24
성별
여성

안녕하세요 제가 평소에도 되게 예민하고 스트레스를 잘 받는 편인데 최근 이사를 하고 층간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상시 신경이 곤두서있는 느낌? 심장이 엄청 두근거리고(내과에서 받은 심전도 검사는 정상이었어요) 머리가 지끈거리고 항상 긴장상태에 있어서 너무 힘들어요 이게 3개월이 넘어가니깐 요즘엔 잠도 잘 못자고 일어나도 항상 피곤해요 가끔은 심장이 갑자기 멈추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감도 있어요

정신과나 신경과를 가야하나요 아니면 심장내과?를 가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철희 의사입니다.

    층간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고 나서 시작된 두근거림에 대해 문의 주셨는데요, 많이 불편하셨을 것 같습니다.

    • 정신과: 스트레스나 불안, 잠이 안 오는 문제 등이 주된 증상이라면 정신과에 방문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 심장내과: 다만,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부정맥 등 내과적 질환이 두근거림의 원인이라면 심장내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진단은 두근거리는 증상이 있을 때의 심전도 촬영이 필요하기 때문에 증상이 없을 때의 심전도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고 하더라도 질환이 없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두근거림 증상이 있을 때의 심전도를 확인하기 위해 홀터 모니터링 등 추가적인 심장 관련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두근거림이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라면 정신과를, 심장 질환의 가능성이 있다면 심장내과를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제가 드릴 수 있는 조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심호흡, 명상, 요가 등의 심리적 안정을 도울 수 있는 활동을 시도해보세요. 간단한 호흡 운동이나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활동은 신체적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2.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며, 신체 활력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일상적으로 충분한 활동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수면 관리: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인 수면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데 중요합니다.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은 신체의 회복을 돕고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4. 카운셀링 및 심리치료: 스트레스와 불안이 지속되고 심각하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치료나 상담을 통해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배우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찾을 수 있습니다.

    5. 소셜 네트워크: 가족이나 친구와 대화하거나 문제를 나누는 것도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전문의 상담: 신체적인 증상과 불안이 심각하게 느껴진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증상들이 불안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른 진료과보다 정신건강의학과를 먼저 방문해 진찰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