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2.02

고양이와 개와 같은 동물에서 오드아이가 잘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양이와 개의 경우 두 눈의 색깔이 다른 오드아이를 가진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요. 특히 고양이에게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고양이와 개와 같은 동물에서 오드아이가 잘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에서 오드아이(두 눈의 색이 다른 현상)가 나타나는 이유는 유전과 멜라닌 색소의 분포에 관련이 있습니다.

    오드아이는 '이색증'이라고도 부르며, 이는 개체의 두 눈이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눈의 색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멜라닌 색소의 불균형한 분포 때문에 발생합니다. 멜라닌 색소의 양이 많을수록 눈의 색이 더 어두워집니다.

    고양이와 개에서 오드아이가 비교적 잘 관찰되는 이유는 이들 동물의 유전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흰색 고양이나 푸른 눈을 가진 고양이에서는 이색증이 더 자주 관찰됩니다. 이는 흰색 피부와 털을 가진 동물에서 멜라닌 색소의 생산이 적거나 없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눈의 색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오드아이는 고양이나 개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닙니다. 사람을 포함한 다른 동물들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양이와 개에서 더 자주 관찰되는 이유는 이들 동물이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동물 유전학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 자료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와 개의 경우 두 눈의 색깔이 다른 오드아이를 가지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특히 고양이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양이와 개의 눈 색깔은 눈동자 내부에 있는 색소 세포의 종류와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눈동자 내부에는 멜라닌이라는 색소 세포가 있으며 이 세포의 양에 따라 눈의 색깔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오드아이를 가진 고양이나 개의 경우 눈동자 내부에 있는 멜라닌 세포의 양이 불균형하게 분포하게 되어 눈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불균형한 멜라닌 세포의 분포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고양이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고양이의 유전자가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양이는 다양한 색상의 눈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오드아이를 가진 고양이가 많이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고양이와 개의 눈 색깔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서도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어날 때는 오드아이를 가지지 않았지만 성장하면서 멜라닌 세포의 분포가 변화하면서 오드아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드아이는 고양이와 개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들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말이나 소에서도 오드아이를 볼 수 있으며 이는 마찬가지로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따라 변할 수도 있으며 다른 동물들에서도 오드아이를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의 경우 하얀털의 유전자가 멜라닌색소의 이동을 방해합니다.

    그래서 눈으로 멜라닌색소가 이동하지 못하면 홍채의 색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같은경우 선천적으로 오드아이 비율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우성 유전자인 흰색 털 유전자로 인해서 멜라닌 세포의 이동이 막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멜라닌 세포가 한쪽 눈으로 가지 못하면 양쪽 눈 색이 달라집니다.

    강아지의 경우 비율이 그렇게 높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와 개의 오드아이는 멜라닌 색소 발현 불균형으로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 선천적 요인,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고양이는 품종적 특성, 유전자 돌연변이, 암컷 비율 등의 이유로 개보다 오드아이가 훨씬 더 빈번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