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세심한테리어2
세심한테리어223.10.24

비정규직이 생기게 된 이유를 알아보고싶습니다.

과거 경제성장시기에는 비정규직이란 단어는 없엇다고합니다. 그런데 갑지가 생겨난 비정규직은 언제 어떠한 이유로 생겻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김영삼 정부 때 당시 세계화와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대한 요구에 응하여 여당인 신한국당(새누리당의 전신)이 1996년 12월 26일 비정규직의 내용이 포함된 노동법을 통과하면서 비정규직이 생겨났습니다.즉, IMF 외환위기가 비정규직의 증가를 불러오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정규직이라는 개념이 생기기 시작하였던것은 과거 IMF시기로서, IMF가 발생하게 되자 우리나라는 IMF로부터 자금을 차입받을 때 받았던 조건이 '노동시장의 유연화'로서, 이는 곧 정규직만 있었던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비정규직을 고용하도록 만들었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97년 해외투자자들이 돈을 다 빼가면서 우리나라는 외환부족으로 망하게 됩니다

    일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IMF에 구조요청을 합니다

    IMF 는 도움을 줄테니 이 조건을 받으라고 합니다

    A. 지원받는 즉시 금리 인상. 12.5% → 30%로

    : 빚있는 사람들 & 무수한 기업 파산

    B. 자본시장 개방

    외국인 주식투자 한도 7% → 50%

    외국계 인수합병 가능하도록 바꾸고, 외국인이 금융회사 설립도 가능하고, 적대적 인수합병도 가능하도록.

    : 경제주권은 외국인에게로

    C. 외환보유고와 금융기관에 대한 모든 정보 공개, 심사

    D. 금융기관 즉각 구조 조정

    : 금융기관 망함.

    대량 해고. 폭발하는 실업자

    E. 기업 경영 및 지배구조 즉각 개선

    : 해고.

    F. 노동시장 유연화

    : 비정규직 확대. 이제 평생직장은 x. 고용불안

    그런데 일본에게 외화를 빌리려고 한 것을 미국이 반대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말이 사실이라면 그냥 눈뜨고 당한거죠 이 때부터 비정규직이 생겨나서

    지금까지도 고통받는 거 같습니다 최저시급만도 못한 직장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선는 1980년대 후반부터 대기업이 생산과정을

    하청업체에 외주화하기 시작하며 비정규직 노동자가 증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