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노무상담 이미지
기타 노무상담고용·노동
기타 노무상담 이미지
기타 노무상담고용·노동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8.15

비정규직 근로자는 언제 최초로 생긴 것인가요?

우리나라에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말 많이 있는데요 처음부터 비정규직 근로자가 있었는지 아니면 어떤 계기로 생겼는지 비정규직 근로자는 언제 처음 생기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말 많이 있는데요 처음부터 비정규직 근로자가 있었는지 아니면 어떤 계기로 생겼는지 비정규직 근로자는 언제 처음 생기게 되었나요?

    -> 비정규직 근로자 문의로 사료되며,

    문의하신 사항은 IMF 이후가 기준점이 되고 있으며, 현행 법률로서는 기간제법 등을 통하여 비정규직 사용에 대한 일정한 제약을 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법적용어는 아니지만 기간제근로자, 단시간근로자, 일용직근로자등을 의미하는 단어로 IMF외환 위기 이후 통용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파견근로자나 기간제근로자 등 비정규직의 고용형태는 이전부터 있었으나, 이를 비정규직으로 지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것은 IMF 금융위기 당시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학 노무사입니다.


    비정규직 근로자란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자를 의미하는 것이며 통상 사회적으로 파견직, 도급, 용역, 아웃소싱 등 다양한 간접고용 근로자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어집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외환위기 때 IMF가 노동시장 유연화 도입을 요구하며 비정규직 고용방식이 확대 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언제 최초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상 어려움으로 인하여 IMF의 지원을 받게 되면서 그 대책으로

    비정규직의 형태로 고용하여 일을 시키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비정규직이란 법적용어는 아니며 기간제, 단시간, 파견, 용역 근로자를 통칭하는 말로,처음부터 존재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