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바다생물 연구원
바다생물 연구원22.12.14

식물플랑크톤에 플랑크톤은 어떤의미인가요?

바다에서 보면 식물플랑크톤이 적조를 일으킨다는 뉴스를 봤는데요 여기서 플랑크톤은 무슨 의미인가요? 정말 궁금한데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중에 사는 수서생물은 크게 유영생물(nekton), 플랑크톤, 저서생물(benthos)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 저서생물은 수충의 바닥에 살거나 바닥면 가까이 사는 생물을 총칭하는 용어이며, 유영생물은 플랑크톤과 같이 수층에 살지만 빠른 운동을 하며 수층에서 능동적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하며 사는 어류, 고래류, 오징어류 등을 가리킨다. 플랑크톤에 속하는 생물들은 유영생물과 달리 운동 능력이 없거나 수층에서 소규모 운동을 하고, 수직적으로 이동은 하지만 물의 흐름에 거슬러 능동적으로 이동을 하지 못하는 생물들이다.


    플랑크톤 용어

    플랑크톤이란 담수나 해수에서 물의 움직임에 따라 수동적으로 수중에 떠 있거나 표류하는 생물을 총칭하는 말이다. '떠 돈다'라는 의미의 고대 그리스어인 planktos에서 유래한 용어로 독일의 헨젠(Victor Hensen, 1835~1924, (1887))[1]이 처음 사용하였다. 플랑크톤을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는 한자로 浮游生物(부유생물)이란 용어로 쓰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한글로 ‘떠살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2].


    플랑크톤 종류

    이런 플랑크톤에는 수중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부터, 단세포 원생생물, 파래 모자반 같은 다세포 해조류, 어류의 알, 크릴새우류, 대형 해파리 등 다양한 크기의 수서 동, 식물이 포함된다 플랑크톤은 생물의 분류 그룹에 따라 박테리아플랑크톤(bacterio plankton), 식물플랑크톤(phytoplankton), 동물플랑크톤(zooplankton) 등으로 구분한다. 박테리아플랑크톤은 수층에 부유하는 원핵생물(부유박테리아)을 가리키며, 식물플랑크톤은 수층에 부유하는 식물성 부유조류(浮游藻類)를 가리킨다. 동물플랑크톤은 수층에 부유하는 단세포 원생동물(protozoa)부터 다세포 어류의 난과 자, 치어까지 동물성인 부유동물(浮游動物)을 가리킨다.


    식물플랑크톤으로 출현하는 부유조류에는 원핵생물인 남조류(또는 남세균)와 원생생물인 규조류, 와편모조류, 은편모조류 등과 같은 단세포 미세조류(microalgae)를 포함하며, 또 육안으로 식별되는 파래나 모자반 같은 대형조류(macroalgae) 등이 포함된다. 이들 식물플랑크톤은 해양의 유광대(euphotic zone)에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기 때문에 바다의 기초생산자로서 해양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물플랑크톤은 수층에서 부유박테리아나 미세조류를 섭식하는 단세포 편모충류, 섬모충류, 방산충류, 유공충류와 같은 부유원생동물(prtozooplankton)과 식물플랑크톤과 부유원생동물을 섭식하는 해파리, 화살벌레, 요각류, 곤쟁이류, 옆새우류, 난바다곤쟁이류(크릴새우류) 등의 다세포성 동물플랑크톤(metazooplankton)을 포함한다. 이들 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이 생산한 유기물을 섭취하는 1차 또는 2차소비자로서 상위 단계의 유영생물에게 에너지를 전달하는 중간 단계 역할을 한다. 박테리아플랑크톤은 수층에 부유하는 생물의 사체나 유기쇄설물(detritus)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순환시키는 분해자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랑크톤은 수층에서 기초생산자, 1, 2차소비자, 분해자로서 표영생태계의 기초 단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랑크톤은 수생 생물(水生生物)의 생활형에 의한 분류의 하나입니다. 일명 부유생물로도 불리죠.

    플랑크톤이 어떤 하나의 생물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수중이나 수면에 부유하여 물의 흐름대로 생활하는 것들로 규조 식물 플랑크톤과 물벼룩과 같은 동물 플랑크톤이 있고, 크기는 미크론 단위인 것에서 해파리와 같은 것까지 있습니다.

    말씀대로 군집을 이루며 적조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대사작용으로 독성물질을 배출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랑크톤은 수생 생물의 생활형에 의한 분류의 하나. 수중이나 수면에 부유하여 물의 흐름대로 생활하고 있는 것. 규조(珪藻)등의 식물 플랑크톤과, 물벼룩과 같은 동물 플랑크톤이 있고, 크기는 미크론 단위인 것에서 해파리와 같은 것까지 있음. 물고기 등의 먹이로서 중요하고, 적조(赤潮)를 일으키는 원인이 됨. 유영동물·저생생물에 상대되는 말임.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랑크톤은 물에서 떠다니는 아주 미세하게 작은 생물들을 총칭합니다. 스스로 운동능력은 없습니다. 식물성 및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구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