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31

조선시대에는 어떤 과자를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현대에는 과자의 종류도 수 천개 정도로 다양하게 많은데 조선시대에는 주로 어떤 과자의 종류를 먹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3.01.31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과자는 한과 였습니다.

    한과는 약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제사나 차례를지낼때 동그랗게 생긴것이 약과입니다.

    정과 과편 엿강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전통과자를 한과라고 부릅니다.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한과류의 종류는 모두 255종에 이르는 것으로 보아 한과의 인기를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궁중의 연회상에는 한과가 빠지지 않았는데 다식, 강정, 엿강정 등 24가지의 과정류를 차려낸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한과를 궁중, 양반, 서민들이 즐겨먹었습니다.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한과류는 225종이며 다식, 강정, 엿강정 등의 24가지의 과정류를 차려 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세종1년 아침에 제사를 지낼때 유밀과와 과일을 섞어 구과상을 올린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유과, 엿강정, 엿, 약과, 다식을 주로 먹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백성들은 과자를 먹을 형편이 되지 못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과자는 주로 집에서 만들어 먹었습니다.

    약과, 유과(강정 등), 다식 등을 먹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옛날에는 전통과자를 먹었습니다.

    유밀과와 다식, 정과, 과편, 한과, 엿강정 등을 먹었습니다.

    곡물을 이용한 간식을 개발한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 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과자의 종류에는 유밀과와 다식, 정과, 과편, 엿강정 등 전통 과자는 과정류 또는 한과류라고 불러 서양식 과자와 구분합니다. 곡물에 꿀이나 엿을 섞어 만드는 과정류는 삼국통일 이후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대부분 농사를 지으며 살았던 우리 민족이 곡물을 이용한 간식을 개발한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었 습니다. 특히 약과는 궁에서나 먹는 귀하 음식이 였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