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운문문학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시나 통틀어서 여러 뛰어난 작품이 많은데요, 대체적으로 그 중에서도 유명한 작품들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운문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고대의 '구지가'와 '해가'처럼 주술적인 노래가 있고, 통일신라 시대에 향가인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등이 있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청산별곡', '가시리'와 같은 속요가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담아 많은 사람들에게 불렸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정철의 '관동별곡', '사미인곡'과 같은 가사문학과 함께 시조가 발달했으며 윤선도, 황진이와 같은 시인의 작품이 유명합니다. 현대에는 김소월의 '진달래꽃', 윤동주의 '서시'처럼 전통적인 운율을 살리면서도 새로운 감정을 표현한 시들이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한국 문학사에서 가장 사랑받는 운문문학가 이자 서정 시인 중 한 명은 김소월 입니다. 그의 시는 민요적인 운율과 서정적인 표현 속에서 한국인의 정서를 깊이 담아내며, 단순한 개인적 감상을 넘어 민족의 아픔과 저항의식을 나태내는 대표작으로는 「진달래꽃」, 「산유화」 등 입니다. 또달ㄴ 대표적인 민족 주의 시인은 윤동주 이며 우리가 잘 아는 < 서시> 도 대표적인 작품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운문문학을 시대별로 꼽아보자면은요.
고대가요로 [구지가], [황조가], [공후인] 등이 있으며 설화적 배경과 함께 운문문학의 기원으로 볼 수 잇습니다.
이후 이두로 기록된 우리말 시가인 향가로는 [제망매가], [처용가] 등이 대표적입니다.
고려속요로는 [청산별곡], [서경별곡], [동동] 등은 고려시대의 대표 운문문학입니다.
조선시대에는 대표적으로 시조와 가사가 있는데, 시조로는 [어부사시가] 등이 대표적이빈다.
가사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