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4.02.02

전반기에 미국금리가 인하가 안될것이라고 하는데 왜인가요?

우리나라의 경제와 많이 밀접한 미국 금리인데 미국 금리인하가 점점 늦어지고 있고 후반기에 인하가가 될수있다고 예상하던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경제가 너무 탄탄하고 고용률도 높기에 지금 금리를 인하했다가 다시 물가가 튀어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지금 당장 금리를 인하 시킬 수 없습니다.

    • 하지만 최소 5월에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입니다.

    • 그 이유는 작년 FOMC에서 올해 최소 3번의 금리인하를 할 것이라고 예고한 만큼 5월에는

      첫 금리 인하를 시작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은 연초 대비 다소 꺾인 상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현재 Fed가 1월 동결 후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인하할 가능성을 40%가량 반영 중이다. 불과 열흘전 80%에 육박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첫 금리 인하가 기대되는 시점을 이르면 3월에서 5월로 늦춘 셈이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주식시장 등이 너무 상승을 보이고

    고용시장도 너무 안정되는 등 물가가 하락세를 보이지 않을 수 있기에

    그런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경우 지정학적 문제로 여러 피해(중국과 미국 사이에서의 줄다리기)를 받고 있어 피해를 온몸으로 받아내고 있지만 미국의 지표는 현재 골디락스라고 불릴 정도로 좋은 상태를 유지 중입니다. 상반기까지는 사실 내려갈 이유가 별로 없긴하네요. 경제 침체 분위기가 좀 나와야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가 늦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제 상황: 미국 경제는 현재까지도 놀라울 정도의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금리인상이 경기침체를 불러올 것이라는 예상에 반하는 상황입니다.

    - 인플레이션 억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금리 인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전반의 수요가 억제되었고, 이에 따라 경제가 약해질 경우 금리 인하로 초점을 옮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금리 인상의 효과: 금리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금리 인상의 효과를 충분히 평가한 후에 금리 인하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서 금리 인하가 늦어지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입니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은 변동성이 크므로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전망은 다양하며,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https://naon.go.kr/content/html/2024/01/03/9d4cec7e-4070-4572-a030-b564d745380f.html ([국회보 주재관리포트]2024년 미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6517 (미 연준 금리인상 경로 끝자락의 '2024년 금리인하 전망' 의미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시점에 대해서 사실 파월의장이 상반기에 될 것이라고 이야기를 한 적이 없었으나 시장이 으레 짐작하여 기대를 하였던 것이에요. 미국의 지표들 또한 인플레이션율이 낮아지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3.4%로 높은 상황이다 보니 상반기 내로는 미 연준이 목표로 하는 2%대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낮아서 금리인하를 중순 이후로 보고 있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는게 경기침체 신호가 와야 인하를 하는건데요 미국 고용지표가 잘나와서 경기가 좋다는 신호거든요 그래서 빨라야 5월정도 인하는게 시나리오인거 같습니당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미국의 금리 인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열린 FOMC 에서 파월 의장이 매파적인 발언을 하였기 때문이며

    의장은 자신이 확신할 수 있는 상황이 오기 전까지 금리 인하의 어려움을 밝혔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