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성숙한꿩234
성숙한꿩234

국내에 상장된 회사가 외국에서도 상장이 가능한가요?

오늘 신문을 보니 현대차가 인도시장에서 기업공개한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데 외국에서도 상장이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당연히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미국에 상장한 사례도 있고 그 이외의 국가에도 상장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국내에 상장된 기업이 외국 증권거래소에도 상장할 수 있는데, 이를 이중상장이라고 합니다. 이중상장은 한 기업이 두 개 이상의 증권거래소에 동시에 상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하거나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이중상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는 2022년에 인도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습니다. 이는 인도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과 투자 자금 조달 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중상장은 장단점이 있어서 기업의 상황과 목표에 맞는 전략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중상장의 장점으로는 다양한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기업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관리와 회계 처리가 복잡해지며, 주가 변동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업은 이중상장을 추진할 때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고, 증권거래소와의 협의와 규정 준수를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국내 상장 기업이 해외에서도 상장하는 것을 해외 상장이라고 하며, 이는 해외 투자자들에게 자본을 조달하고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며, 해외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현대차가 인도 시장에 상장하는 것은 해외 직접 상장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미국 증권거래소 등 해외 거래소의 상장 기준을 충족하면 별도의 국내 절차 없이 해외 거래소에 직접 상장하는 방식입니다.

    해외 상장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해외 직접 상장으로, 기업이 해외 거래소의 상장 기준을 충족하면 별도의 국내 절차 없이 직접 상장하는 방식입니다. 두 번째는 adr(aMERICAN dEPOSITARY rECEIPT)로, 미국 증권거래소에 외국 회사의 주식을 예치하고 그 예치 주식을 미국 투자자들이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증권입니다. 이를 통해 미국 투자자들은 국내 상장 회사의 주식을 간접적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해외 상장은 기업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해외 법률 및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등의 부담도 따릅니다. 따라서 해외 상장을 추진하기 전에 충분한 검토와 준비가 필요합니다. 삼성전자, lg전자, sk그룹 등 많은 국내 기업들이 이미 해외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사례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감사합니다.

  • 정확히는 현대차가 인도해 또 상장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차의 자회사 같은 개념인 현대차 인도 법인이 인도 시장에 상장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안에서도 카카오와 카카오 자회사들이 많이 증시에 상장하지 않습니까? 그런 것처럼 보시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네, 국내에 상장된 회사가 외국에서도 상장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해외상장이라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현대차가 인도 시장에서 기업공개(IPO)를 하면 인도 주식시장에서도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외국 투자자들도 그 회사 주식을 살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