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이로동
이로동24.03.12

한국의 종합주가 지수는 왜 다르나라에 비해 안오르나요?

요즘 미국과 일본의 종합주가 지수는 역대최고를 갱신하였었는데 그에반에 한국은 공매도를 제한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닥 코스피가 안오르던데 선진국에 포함된 우리나라는 왜 주가지수가 잘 안오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주주환원이 낮고

    지배구조 등에도 문제가 있으며 주식시장 자체가 선진화되지 못한 등

    이에 따른 저평가를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주가지수가 다른 국가에 비해서 상승하지 못하는것을 코리아디스카운트라고 하는데, 이러한 코리아디스카운트가 발생하는 이유에는 '주주환원정책의 미흡', '가족세습의 경영방식', '지정학적 리스크'와 같은 것들이 자리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낮게 전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금리 여파로 인한 경기 침체 징후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들의 주주환원정책이 상대적으로 금융선진국에 비해 미흡하여 자금 유입이 일본 등에 비해 떨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대주주가 주주친화적 정책을 안하고 지정학적 리스크도 좀 있긴하죠 근데 미국처럼 배당 많이주고 자사주매입해서 소각하면 우리나라 주식시장도 꽤 오르긴할거 같아여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코리아디스카운트 영향이 가장 큽니다

    • 최근 일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 나서서 저PBR업체들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예고했습니다

    • 이런 것이 효과를 보면서 증시를 한 단계 더 레벨업 시켰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코리아디스카운트라고 북한의 지정학적 위험과 오너리스크, 대중국 무역의존도 등 평가절하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지수는 속한 개별 주가의 등락이 종합되어 산출됩니다.


    개별 주가는 각 기업의 이익과 성장성을 바탕으로 등락을 하게 되는데


    1. 내수 성장성 둔화

    2. 반도체 경기 둔화

    3. 2차전지 산업 경쟁 격화


    이 세가지 이유로 상승폭이 제한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내수가 작고 대외의존도가 높은 구조이며, 지정학적 요소(북한), 기업이 주주에 대한 환원이 부족하고 금융투자에 대한 개인의 비주잉 낮아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의 주식대비 저평가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의 종합주가 지수가 다른 나라에 비해 오르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최근 언급되기 시작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큰 몫을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주 투자가 더 활발하게 이뤄지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최근 한국의 기업들의 성과가 예전만 못하며 경쟁국에 비해서도 떨이지기에

    이런 요소들이 한국의 종합주가지수를 박스권으로 묶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