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이 지속되는 이유가 뭔가요??
최근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도 끝나가는 분위기고 중국도 리오프닝을 시작했는데 전세계적으로 금리인상기조가 계속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여전히 전 세계가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전 세계가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이며, 그 중에서 특히 미국이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다보니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어 발생하는 강달러 현상에 의해서 자국내로 유입되는 인플레이션 수입을 막기 위해서라도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금리인상은 경제가 활성화 될수록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앞서도 말씀 드렸듯이 금리인상의 목적은 인플레이션의 억제인데 경제가 활성화 되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경제가 어느 정도 침체가 되어야지 금리인상이 멈추고 인플레이션이 억제가 될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아직 고물가 상태여서요. 2프로가 타겟인데 아직 5프로 이상 물가 유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 인상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높기 때문입니다. 비록 인플레이션 증가율이 7% 초반로감소하였지만 목표인플레이션인 2%보다는 매우높은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00년대에 있었던 금리 인하가 미국 금융위기의 단초가 됐고, 2010년대 금리 인하가 높은 물가를 초래해 연준을 곤란하게 만든 만큼 중앙은행이 자발적으로 나서기 힘듭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금리 인상이 끝난 후에도 상당 기간 높은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의 인플레이션을 확실히 잡고자하는 의지 때문 입니다. 22년, 1년동안 무려 4.25%의 기준금리 인상을 실시하였고, 인플레이션이 조금씩 완화는 되고 있습니다만, 절대 수치로는 아직까지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고용시장 또한 매우 타이트 한 상황으로, 임금 인상에 대한 압력이 있어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하한다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튀어오르지 않을까 걱정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 인상을 멈추지 않고, 추가로 0.75%의 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계속된 금리인상을 보이는 것은
아무래도 현재도 물가 수준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기에
계속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