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고요한콰가191
고요한콰가19122.10.29

인플레이션 상황시 왜 그럴까요?

조금 광범위한 질문 죄송합니다.

최근 제롬파월이 인플레이션 잡겠다고 기준금리를 조금 많이 인상했는데,

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뭘까요??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의 파장..?

아니면 그저 과도기가 슬슬 되어서..? 복합적인 요인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원인은 지난 2020년도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시절의 여파입니다. 코로나시기 세계는 큰 혼돈에 휩싸였고, 이때 각국가들은 지역경제를 폐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단기가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되자 각 정부는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각종 보조금가 지원금을 정부의 재원으로 혹은 저리의 대출로 지원하였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0.25%의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였고 정부 국채발행자금으로 가계당 10만불의 자금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개인에게도 무상으로자금을 지원하였습니다. 게다가 저금리 기조이다 보니 대출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결국에는 화폐의 유동성이 그 어느때보다 극심하게 많아진 상황이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문제는 개인들도 기업도 국가도 부채가 많아졌다는 것이며 이러한 유동성들이 산업발전에 대한 재투자가 아니라 코인, 주식, 부동산에 집중되어서 투자되다보니 실질적인 성장없는 인플레이션 증가만을 가져오게 된 것입니다. 러-우전쟁은 이러한 인플레이션의 상승에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되어서 더욱 빠르게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가령 나스닥의 경우 2016년도 5천포인트에서 2020년도 2월에 8,800포인트까지 상승을 했는데 4년간 3,800포인트 상승했던 나스닥이 2021년 10월에는 15,000포인트를 도달하면서 1년만에 7,200포인트 거의 2배가까이 상승하는 너무나도 큰폭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상승이 사실 정상적인 장의 상승은 아니었던 것으로 봐야합니다. 그렇기에 지금 나스닥 지수 11,100포인트는 고점대비 많이 하락했다고는 하나 코로나 이전보다는 높은 상태입니다. 그리고 미국의 국채발행이 현재 31조달러로 지난 3년동안 12조달러가 발행되었습니다.즉, 미국정부도 지금 부채덩어리인 상황이니 국가 자체로도 상황이 좋지 않은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복합적입니다.

    코로나 펜더믹 때 전세계에서 양적완화정책을 펼친 점,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원자재의 가격이 치솟은 점 등을

    종합하여 복합적으로 발생하였다고 보여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러-우전쟁 / 중국봉쇄 / 과도한 유동성 입니다.

    러-우전쟁으로 인하여 주요원자재(원유, 밀) 등에 대한 공급에 차질이 생겼고 이에 따라서 원자재가격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중국의 경우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봉쇄가 간헐적으로 진행되기에 값싼 물품에 대한 공급에 차질이 생긴상태입니다.

    아울러, 코로나로 인하여 미연준이 과도한 유동성을 시장에 풀었기에 시장에 돈이 남게되어 이러한 원자재, 물품 가격에 대한 가격이 오른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현재 연준은 해결하지 못하는 앞2가지 이유가 아닌 유동성이라도 해결하고자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9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통화량'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장기에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려면 총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총공급이 지속적으로 감소해야 합니다. 그런데 총수요의 구성요소인 정부지출이나 가계소비, 기업투자는 장기에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