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4.16

반도체가 세계적으로 각축장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반도체가 세계적으로 각축장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개발 경쟁 및 유치 경쟁이 치열한 듯합니다.

반도체에서 무어의 법칙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왜 이런 법칙이 생겼는지 궁금합니다. 이 법칙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이란..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 경제의 3가지 원칙중 하나로서, 마이크로칩의 밀도가 24개월마다 2배로 늘어난다는 법칙이며..

    이것은 정립된ㄴ 학설이나 법칙이 아니라..경험적 예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이 법칙이 예전에는 어느 정도 맞아떨어지는 듯하였으나 현재에는 경제성 문제와 기술력의 한계때문에 현실적으로 맞지 않다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수년전 유명 반도체 업체들은 무어의 법칙에 맞게 칩을 생산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경제성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선언했는데..

    한계에 도달했다는 방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도움 되셧기를...^^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은 1965년 인텔의 공동 창업자인 고든 무어가 제시한 반도체 산업에서의 발전에 관한 예측으로, 반도체 칩의 집적도가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할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이 법칙은 초기에는 잘 지켜졌지만, 반도체 기술의 한계에 부딪히면서 최근에는 조금씩 꺾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이란 인터넷 경제의 3원칙 가운데 하나로, 마이크로칩의 밀도가 24개월마다 2배로 늘어난다는 법칙입니다.

    이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 기술의 발전 속도를 설명하는 법칙으로 쓰이며 기술의 발전과 생산성 향상에 관련된 개념으로써 또한 규모의 경제와 관련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반도체 칩에 집적된 트랜지스터 수가 대략 18~24개월마다 두 배씩 증가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1965년 인텔의 공동 창업자인 고든 무어가 제안하였습니다.

    이 법칙이 생겨난 이유는 반도체 기술이 발전하면서 트랜지스터를 더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칩의 크기가 작아지면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칩에 집적시킬 수 있으므로 반도체 칩의 성능이 대폭 개선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이 2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법칙입니다. 인텔의 공동 설립자인 고든 무어가 1965년에 내놓은 것으로, 경험적인 관찰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이 법칙은 메모리의 용량이나 CPU의 속도가 18개월에서 24개월마다 2배씩 향상된다는 '기술 개발 속도에 관한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법칙 중 하나입니다. 이 법칙은 고든 무어가 1965년에 발표한 것으로, 반도체 칩의 집적도(칩 안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1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반도체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트랜지스터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게 되어, 칩 안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무어의 법칙은 초기에는 1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하던 집적도가, 이후에는 2년에서 3년마다 약 2배씩 증가하게 된 것으로 수정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법칙은 현재까지도 성립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