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 있어 현금은 몇%정도 보유하고 있는게 좋을까요?
투자에 있어 현금은 몇%정도 보유하고 있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이미 투자하고 있는 자산은 어느정도 떨어졌을 때에 추가로 매수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과 같은 상승장에서는 자금을 점차 수익화화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즉 총 투자금액에서 현금화를 진행하여 약 40% 까지는 현금으로 보유하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더 상승할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추석을 앞둔 즉 장기
연휴를 앞두고는 약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기에 어느정도 관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으나 개인마다 취향차이이나
저는 현금 보유를 10~20% 정도를
지향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으니
개인마다 설정을 달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 보유 비중은 개인 성향, 시장 상황에 따라 10~30%가 적정합니다. 주식, 코인 등 위험자산이 하락할 때 현금이 있으면 저가 매수가 가능합니다. 추가 매수는 보유 자산이 15~20%이상 조정받을 때 분할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10-20프로정도는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거나 시장이 좋지 않다고 보면 30프로에서 많게는 50프로이상 보유하면서 시장을 적극적으로 대응할때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성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에서 보유할 현금 비중은 개인 상황과 시장 전망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자산의 10~20% 수준이 적절하다고 여겨집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시장 하락이나 투자 기회 포착, 긴급한 자금 필요 시 유동성을 확보해 리스크를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투자 성향과 경제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를 할때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해 현금을 보유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약 20% 정도는 현금을 보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갖고 있는 자산이 10~20% 이상 하락한 경우 추가 매수를 고민해봐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위 내용은 투자 자문은 아니오니 신중하게 판단하여 투자하시길 권유드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주식 코인 투자한지 오래 되었지만 현금 비중은 20-30프로는 유지하면서 투자를 합니다
그리고 물타기는 투자자 성향 따라서 다 틀리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장기투자 종목은 꾸준히 떨어질때마다 사고 단기 추세 보고 들어간건 물타기 없이 그냥 손절 치는 경우도 많거든요
투자하시다 보면 질문자님 만의 투자 패턴과 방식이 생기니 자연스레 될거라 저는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투자하시면서 현금 보유는 어느 정도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투자자 마자 다른 생각을 갖고 계시겠지만
저라면 최소한도 전체 자산의 40퍼센트 가까운 금액을
현금 혹은 현금성 자산으로 갖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에서 현금 비중은 개인 상황, 리스크 성향에 따라 보통 10 30% 정도가 권장됩니다.
추가 매수는 자산이 목표가 대비 10-20% 이상 하락했을 때 분할 매수하는 식으로 접근하는 게 안전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하는 데 있어서 현금을 어느 정도 보유해야한다는 기준이나 정답은 없지만, 4인 가족(세대)에서 생활비도 쓰고 혹시 모를 비상상황에도 대비해야 하니까 최소한 투자금 대비 10%는 현금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을 얼마나 두는 게 맞는지는 딱 잘라 말하기 어렵습니다. 제 경험에는 보통 전체 자산의 20퍼센트 전후로 두는 경우가 많았는데 상황 따라 달라집니다. 금리가 높을 땐 현금 비중이 커도 이자가 나오니 부담이 덜하고 반대로 시장이 상승세일 땐 기회비용이 커질 수 있습니다. 추가 매수 시점도 똑같습니다. 몇 퍼센트 빠졌다고 기계적으로 들어가기보다 내가 산 기업이나 자산의 펀더멘털이 변하지 않았는지를 먼저 보는 게 낫습니다. 단순히 가격 하락만 보고 들어가면 더 깊은 하락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