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4.03

혈압 수치가 몇 이상이 되어야 반드시 약으로 조절이 필요한가요?

나이
5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고지혈, 고혈압

저는 혈압약을 먹으면 140에서 130 왔다 갔다합니다.

안먹으면 170이상 올라가기도 하는데요.

신장에 문제가 있은 후로는 혈압이 조절이 안되고 있어요.

식이요법에 엄청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친구가 우리집에 와서 혈압을 재면 170이상 나오는데

약을 안 먹고 버티고 있어요 아무 증상이 없고 죽을 때 되면 죽겠지하고

그냥 약도 안 먹고 저러고 사는데, 어찌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지인분 말씀 그대로입니다

    운이 좋으면 아무 일이 없을 것이고 운이 나쁘면 때가 되면 문제가 생길 것입니다

    단지 안타까운 것은 일이 생기면 불편한 상태로 계속 지내야 하는데

    그런 경우는 별로 생각을 하지 않으시는 것 같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신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신장 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혈압 조절이 더욱 중요합니다.

    혈압약을 먹지 않고 지내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증상이 없다고 해서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지속적인 고혈압은 장기 손상을 일으켜 예기치 못한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이요법과 운동 요법도 중요하지만, 약물 치료와 병행해야 효과적입니다. 혈압 조절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약제 변경이나 병용 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혈압 관리의 중요성을 잘 설명하고, 합병증의 위험성을 인지시켜 약물 복용을 설득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혈압 측정과 신장 기능 검사를 받도록 권유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혈압 관리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혈압 수치가 140/90 mmHg 이상일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하며, 이때는 생활 습관의 변화와 함께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신장 문제가 있는 경우나 다른 동반 질환이 있을 경우, 더 낮은 혈압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혈압약을 복용함으로써 혈압이 140에서 130 사이를 유지한다면, 약물 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약물 치료 없이 혈압이 170mmHg 이상으로 올라간다면, 이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며,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심장 질환, 뇌졸중, 신장 질환 등을 포함한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압이 높게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물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친구의 경우, 혈압 수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약물 치료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혈압 관리의 중요성과 고혈압이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 설명해주고, 가능하다면 전문의의 상담을 받도록 권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