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무역 통계를 실무에 적용할 때 수출입 흐름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려면 어떤 분류 기준을 활용해야 하나요?

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에 앞서 최근 무역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고 싶은데 분류체계가 복잡합니다. 무역담당자는 HS CODE 기준 외에도 산업별, 국가별, 운송수단별 기준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무역 통계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려면 hs code 기준 외에도 산업별 분류를 활용해 주요 수출입 품목의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국가별 기준을 적용해 수요가 높은 지역이나 신흥시장 중심의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송수단별 통계는 물류비용 구조나 배송 기간 등 실무적인 측면에서 유용하므로, 각 지표를 목적에 맞게 조합해 분석하면 시장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무역 통계를 실무에 적용할 때는 단순히 수치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수출입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통계의 구조부터 정확히 이해하고, 목적에 맞게 기준을 선택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최근처럼 수요가 빠르게 변하는 상황에서는 데이터 한 줄이 전략의 방향을 바꾸기도 합니다.

    실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건 HS CODE 분류입니다. 품목별 흐름을 추적할 때는 필수적이고, 국가별 통관 기준을 비교할 때도 기준선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HS 코드만으로는 시장 흐름을 제대로 읽기 어렵기 때문에 산업별 통계, 국가별 무역 규모, 그리고 항공해상 운송수단별 통계도 함께 들여다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제품이라도 항공으로 수출되는 경우엔 고부가가치일 가능성이 높고, 해상은 대량 거래일 가능성이 큽니다. 통계청이나 무역협회, 관세청에서 제공하는 DB가 잘 정리되어 있어 이를 병렬적으로 비교하면 실전에서 도움이 됩니다.

    경험적으로 보면, 단일 분류 기준만 사용하면 분석이 편하긴 해도 놓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한 번은 국가별 수출액만 보고 전략을 짜다가, 정작 산업별 흐름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품목을 지나친 적도 있었습니다. 정리하자면, 품목 코드로 시작하되 산업국가운송수단이라는 다른 축도 함께 끌어와서 종합적으로 보는 게 정확한 방향 설정에 유리하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통계를 활용하면 국가별/품목별 무역통계를 활용할 수 있고, HS CODE 또는 MTI 코드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운송수단별/재화성질별 특성별 분류들도 활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전략을 세울지 각 기업에서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