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 눈높이에 맞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아이가 지금 7살인데 내년에 초등학교 들어갈 대비를 하기 위해 간단한 연산 문제집을 사줬습니다. 그런데 아이가 모른다고 물어봐서 설명해주면 '왜요?' 이렇게 되묻는데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난감합니다. 이럴때는 어떤식으로 설명을 다시 해줘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7세 아이가 연산집을 풀면서 잘 모른다고 했을 때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단순히 정답을 알려주기보다는 아이의 호기심과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로 삼으면 좋겠습니다. 원리를 이야기처럼 풀어주고 구체물을 이용해서 눈에 보이게 설명해줍니니다.

    반복보다는 개념을 먼저 알려주면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살 아이에게 연산을 설명할 때는 일상적인 예시나 실물을 이용해 쉽게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2+3"을 설명할 때 사탕이나 블록을 사용해 보세요.

    또한 아이가 "왜요?"라고 묻는다면 그 질문에 호기심을 가지는 것이므로 간단하게 논리적으로 풀어 설명해 주세요. 예를 들어 "왜 더하는지"에 대해 "우리가 두 개의 사탕을 가지고 있고, 여기에 또 세 개를 더하면 전체가 몇 개가 되는지 알 수 있잖아?"처럼 단계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7살 아이가 연산문제를 풀기는 어려움 점이 많을 것 입니다.

    기초 단계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를 풀이 하라고 한다면 아이의 입장에서는 이게 뭐지? 라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지요.

    또한 부모님이 이 문제 이렇게 풀면 돼 라고 말을 전달해도 아이의 입장에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기초적인 부분의 즉, 아이가 수학의 대한 원리를 이해하는 것 부터가 시작 입니다.

    수학의 원리를 알려주고, 문제를 접근하여 문제를 풀이를 해주는 것이 좋아요.

    문제를 풀이를 할 때는 그림을 그려주거나, 스티커를 붙여주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블럭, 사탕, 인형 등을 활용하여

    문제의 대입해서 문제를 푸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춘다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단어하나하나를 아이가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는게 쉽지가 않죠

    논리보다는 예를 들어서 많이 설명해 주세요

    머리속으로 상상하기 보다는 실제로 연필이나 블록, 손가락을 이용해서 연산을 설명해 줄 수도 있습니다.

    가끔은 역 질문을 통해서 스스로 생각하고 함께 정답을 찾아보면서 탐색하는 과정을 만들어 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살 아이가 '왜요?'하는 건 자연스러운 사고 확장 단꼐이니다. 이럴떈 단순히 '그냥 느겋게 외워'보다 '이렇게 하면 +개가 몇개인지 쉽게 알수 있지?'하고 생활 속 예를 들어주세요. 아이가 납득할 때까지 차근히, 짧고 쉽게 말해주고 칭찬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