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지원금은 어떠한 형태로 지급이 될까요?
정부와 여당에서 민생 지원금 규모를 놓고 고민 중에 있는 듯 한데..
지역화폐 등 성격으로 지급이 되는 건가요?
아니면 코로나 시즌 때 처럼 현금성으로 지급이 되는 건가요?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무언가 빠르게 결정이 되고 실행이 되는 것 같아서 보기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생지원금의 지급 형태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 예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다만 현금성 보다는 지역화폐 형식으로 지급이 되지 않을까 해요. 아직 정해진건 없고 공식 발표를 기다려야
할 것 같아요.
참조하세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코로나시절 재난지원금을 현금으로 지급했을 때 소비진작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지역상품권으로 지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지역상품권은 이재명대통령이 성남시장 시절 직접 개발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것이라 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생지원금 지급 형태 또한 지속적으로 협의중인데,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민생지원금은 어떠한 형태로 지급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소득에 따라서 15 ~ 50만원 사이로 차등 지급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현금이 아닌 각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지역화폐로
지급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처럼 현금지급으로 예상되는데 너무 악용하는 형식이 될 수 있으니
포인트나 상품권 형식으로 지역사회에 소비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민생지원금은 현금, 신용카드,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등 다양한 형태 중에서 국민이 선택해 받을 수 있도록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며, 특히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화폐나 선불카드 형태가 많이 논의되고 있고, 사용처는 전통시장, 소상공인 업체 등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민생지원금의 경우 코로나 시기와 같이 지역화폐와 같은 형태로 지급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것은 결국 소상공인들을 위해 또는 지역사회를 위해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 일정한 곳은 제외하고 사용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것은 코로나 시기와 같이 현금성이 아닌 지역화폐의 형태로 지급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러한 것들이 내수진작을 위한 장기적인 방향으로 가면 좋은데, 이러한 정책이 단기적인 영향으로 그칠것이라고 생각이 되어 걱정이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책을 보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각이 됩니다. 따라서 정책을 만들떄 보다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번과 동일하게 지급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금이 아닌 해당 지역에서만 사용가능한 지역화폐로 지급될 가능성이 높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순간 반짝을 위해 지급하는 것이 목표이기에 그렇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저의 추측일 뿐 또 시간이 지나봐야 그들이 어떻게 결정할지 알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