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힘센사자51
힘센사자51
23.03.07

급발진 사고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차량을 타고 운전을 하고 있는당시에 차량에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차량에 운전자는 최소한 어떻게 대처를 해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23.10.25

    안녕하세요. 누군가를아지랑나요388입니다.

    기어는 꼭 중립(N)에 놓아주시고 동력차단을 위해서..

    사이드브레이크는 서서히 내려주세요.

    한번에 올리면 차가 스핀돌아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브레이크 패달을 짧게 끊어밟지 마시고,

    강력한 힘을 한번에 콱 밟으면서 제동을 시도하라고

    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난꾸러기입니다.

    급발진 상황이 발생됐을 때 차량은 물리적인 신호가 아니라 제어장치에서 급가속을 시키는 것이라서 브레이크가 듣지 않게 됩니다.

    우선 모든 발을 페달에서 떼서 혹시 가속 페달을 밝은 게 아닌지 확인해야 합니다.

    급발진 사고로 의심되는 많은 자동차 사고 중에 대부분이 가속페달 과 브레이크 페달을 착각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라고 합니다.

    브레이크를 밝을 때는 급가속 시 브레이크가 굳어있기 때문에 한 번에 강하게 꾹 밝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브레이크가 발동하기 위해서는 진공 압력이 필요한데 급발진 현상으로 가속되는 상황에서는 진공 압력이 만들어지지 않게 됩니다.

    적은 압력으로 브레이크를 작동해야 하니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눠밝으면 절대 안됩니다.

    강하고 깊게 브레이크를 밝아줘야 하고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지 않습니다.

    대부분 급발진 현상에서는 진공이 빠져 브레이크가 딱딱하게 굳어서 눌리지 않지만 온 힘을 다해서 깊고 강하게 밝는다면 압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를 밝기 전에는 가장 먼저 기어를 중립 기어로 바꿔줘야 합니다.

    기어가 중립으로 가면 출력이 전달되지 않아서 더 이상 가속이 없게 됩니다.

    그 후 사이드 브레이크를 당깁니다. 시동을 끄게 되면 핸들이 잠겨서 조향을 하지 못하고 제동도 전혀 할 수 없어서 오히려 더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으니 시동은 차량이 멈출 때까지 끄지 말아야 합니다.

    위 방법을 다 사용해도 차가 멈추지 않았다면 최후의 방법으로는 중앙 분리대나 가드레일 충돌하여 가드레일을 밀면서 속도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작은청가뢰161입니다.만약에 급발진이 생기면 무조건 기어 파킹으로 하면서 시동 꺼버려야 됩니다.

    다른방법은 없습니다. 브레이크 밞으면서 파킹으로 옮긴후 전원오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