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루브산의 산화 이후 코엔자임A는 어떤 물질이 만들어주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해당 과정이 끝난 이후 피로부사 생성되고 피로부산으로부터 CO2가 방출되어서 아세틸코에이가 만들어질 때 피루브산의 산화 이후 코엔자임A는 어떤 물질이 만들어주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피루브산이 산화돼 아세틸 Co-A가 될떄, 코엔자임A는 새로 합성되는게 아니라 미리 존재하는 CoA가 피ㅜ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의 작용을 ㅗ아세틸기와 결합해 아세틸 COA를 형성하는거랍니다.
피루브산이 산화된 후 코엔자임A는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에 의해 아세틸-CoA를 만듭니다. 이 과정은 피루브산이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한 후, 탄소 하나가 이산화탄소 형태로 제거되고 남은 2탄소 화합물(아세틸기)이 코엔자임A와 결합하여 아세틸-CoA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아세틸-CoA는 이후 TCA 회로(크렙스 회로)로 들어가 추가적인 산화 과정을 거칩니다.
피루브산이 산화된 후 코엔자임A는 아세틸-CoA를 만들어줍니다.
피루브산 산화는 세포 호흡 과정의 일부로, 해당 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이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하여 아세틸-CoA로 전환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에 의해 촉매되는데, 피루브산의 카르복실기(-COOH)가 분리되어 CO2로 방출되고, 남은 2탄소 화합물은 산화되면서 NAD+가 환원되어 NADH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이 2탄소 화합물이 코엔자임A와 결합하여 아세틸-CoA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해당과정에서 포도당으로부터 2분자의 피루브산이 생성된 뒤, 산소가 충분히 있는 조건에서는 피루브산이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들어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에 의해 산화적 탈카복실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코엔자임 A(CoA)는 새로운 물질로 합성되는 것이 아니라, 세포 내에서 이미 비타민 B5(판토텐산)를 기반으로 합성되어 준비되어 있는 보조 인자인데요, 세포질에서 합성된 CoA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자유로운 상태로 존재하다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가 생성한 아세틸기를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즉 CoA는 아세틸기와 결합하여 아세틸-CoA가 되며 따라서 피루브산의 산화 이후에 코엔자임 A는 새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세포 내에서 기존에 합성되어 준비된 CoA가 아세틸기를 받아들여 아세틸-CoA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