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수리무
수리무23.12.12

장보고는 그당시 해상무역을 완전히 장악 한 것인가요?

장보고는 교과서에서도 신라시대에 중요인물로 나오고 드라마에서도 다루던데 신라시대에 장보고가 청해진에서

해상무역을 장악해서 그런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네, 당시 장보고는 청해진을 중심으로 중국과 신라, 왜(일본)과의 해상무역을 사실상 장악했던 것으로 보며 그래서 장보고를 가리켜 '바다의 왕자' 또는 '무역왕' 이라 부르는 이유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보고는 지방 호족에 불과했지만 중국, 일본, 통일신라 중앙의 왕실에까지 그 영향력이 미칠정도였습니다.

    통일신라의 군인이자 호족으로 어린 시절 당나라로 넘어가 그곳에서 벼슬을 했다가 고향인 신라로 돌아와 군인이 되었으며 훗날 청해진 대사가 되어 당시 한중일 사이의 바다를 장악하며 엄청난 부와 권력을 손에 넣었던 인물이라서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일 신라시대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외래 문물에 대한 욕구가 점차 강해지던 시기입니다. 공무역으로는 이러한 수요를 충족할 수 없게 되자 민간인들의소규모 사무역이 시작되고 있었습니다.

    장보고는 중국에 거주하면서 해상 무역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스스로 국제 무역에 대한 야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해적의 위협이 있어 이를 제어하기 위해 청해진에 기지를 건설하였습니다.(828년, 흥덕왕 3년) 그는 청해진을 거점으로 해상권을 장악하고 세계를 무대로 초국적 민간 자유 무역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중국 물건을 수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라나 일본의 무역품들도 활발하게 중국으로 수출하였으며 일본과 무역도 활발했습니다. 일본 귀족들에게 공급된 여러가지 생활용품 중에는 신라에서 생산된 것을 거래하는 직접 무역과 함께, 이슬람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중국에 들어온 것을 일본에 연결하는 중계 무역도 하였습니다. 장보고는 무역 활동과 외교 교섭까지 시도해 840년 일본에 회역사를 파견해 서신과 공물을 보내고 당나라에는 견당매물사의 인솔하여 교관선을 보내 교역하였습니다. 또한 산동성 적산 법화원을 지원하였으며, 엔닌의 사례에서 보여주듯이 일본, 신라, 당을 잇는 당대 해상 교통로에서 위세를 보여주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장보고와 같은 경우에는 청해진을 장악하면서

    해상무역 등에서 상당한 영향력이 있어서 현재까지도

    후세에 이름을 남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