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3% 어느정도 인가요?

이번에 주요 IB들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은 2.5%에서 2.3%로 낮췄다고 하더군요.

근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3% 어느정도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2.3퍼센트 정도 되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여러 기관에서 한국의 잠재 성장률을 2.5퍼센트에서 인하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그렇게 수정된 성장률이 2.3퍼센트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선진국일수록 경제성장률이 낮은 편이긴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경제성장률이 2.3% 정도이면 100위권 밖의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처참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출액과 취업자수도 줄어들고, 내수역시도 지금보다 악화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3%라는 수치는 경제가 비교적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2%대 성장률은 선진국 수준에 가까운 성장률로 볼 수 있으며, 그러나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 수출 둔화 등으로 인해 예전보다 성장률이 낮아졌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2.3% 성장률은 저성장 수준의 성장률이라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 성장률 평균은 1% 후반에서 2% 초~중반 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투자 등에 있어서 만족스럴운 성장률은 아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 최근에 3분기 성장률이 낮아지면서 한국은행에서는 2. 1% 성장으로 낮췄던 것 같습니다

    이 정도 성장률이면 높은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엄청 낮은 것도 아닙니다. 평균치보다 약간 낫거나 하는 수준 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2.3% 수준인 것은 초강대국인

    미국보다도 못한 수치이기에 저조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3%로 전망되는 것은 최근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2024년 1월,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2.3%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월에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2.3%에서 2.2%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외 경제 여건의 변동을 반영한 것으로, 수출 회복과 내수 개선이 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같은 외부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2.3%의 성장률은 현재 경제 상황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으로 평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