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중세시대에 마녀사낭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뭔가요?

마녀사랑은 죄없는 사람을 억울하게 몰아가는 의미로 쓰이며, 중세시대에 실제 이루어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중세시대에 마녀사낭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마녀사냥은 사실 중세 초중기까지도 없던 것이지만 중기 이후 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전에는 남녀불문 이단, 마녀를 찾아내어 피해자가 없더라도 심판하고, 처형할 수 있다라는 기독교법이 만들어지면서 활발하게 이루어지죠. 중세는 엄청난 전염병이 돌았지만 기독교는 아무런 것도 해줄 수 없었습니다. 정작 신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신앙심은 아무런 해결책이 되지 못하자 불신이 커졌고 이를 무마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단을 심판하고, 마녀를 처형한다면서 광기를 보이며 기독교의 지위를 힘으로 유지한 것이죠.

  • 중세 시대 마녀 사냥은 흑사병, 인구 증가와 경제 위기, 종교 개혁과 종교 전쟁 등 심각한 위기와 변화에 따라 발생하였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불안과 혼란의 해소가 필요했으며, 이를 특정 집단이나 사회적 약자에서 찾으려 했습니다. 그 것이 마녀 사냥으로 일어난 것이죠.

    그리고 기독교 사횡서 악마와 결탁이라는 이분법적 논리가 강화되었고, 교회와 사회는 종교 질서 유지를 위해 마녀라는 개념을 이용했습니다. 게다가 1487년 <마녀의 망치>는 마녀 사냥을 조직적으로 부추기며 마녀라는 존재에 대한 민중의 공포와 편견을 확산시켰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 약자, 특히 가난한 여성, 혼자 사는 노인 여성 등이 마녀로 몰려 희생되었습니다. 즉, 마녀사냥은 중세 유럽 사회 구조, 심리, 종교, 권력의 다층적 상호작용 속에서 탄생한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