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10.17

개항 이후 우리나라 사회와 경제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설명해 주세요.

우리나라 개항의 역사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배경에서 진행되었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우리나라 개항은 어떤 과정을 거쳤으며, 주요 사건과 인물들이 무엇이 있는지 설명해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호 개방 이후 열강의 경제적 침탈에 의해 전통적인 사회 체제가 크게 흔들리게 되었고 근대적 사상이 전래되어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일부 선각적인 양반, 중인 출신의 인사들은 개화사상을 수용, 개화당을 조직해 위로부터의 사회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갑신정변 당시의 개화당 정부는 14개조의 개혁 정강에서 문벌의 폐지, 인민 평등권의 확립, 지조법의 개정, 행정 기구의 개편 등을 내걸고 근대 사회의 건설을 위한 대개혁을 단행하려 했으나 수구 세력의 방해와 청의 무력 개립으로 실패했습니다. 당시 민중들은 개화당의 개혁 의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들을 적대시 했습니다.

    조선 후기의 민란에서 비롯된 민중의 저항운동도 계속되었는데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와 봉건적 수취 체제에 불만을 가진 농민의 저항 운동은 인간 평등과 사회 벽혁에 기초한 동학 사상과 결합하여 동학농민운동으로 발전, 동학 농민군은 12개조의 폐정 개혁안에서 탐관 오리의 처단, 노비 문서의 소각, 토지의 평균 분작 등을 내세웠고 집강소를 설치해 차별적 신분제도를 타파하고 농민을 위한 토지 개혁을 단행해 새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은 실패로 끝이나나 이 운동은 양반 중심의 전통적 신분제 사회를 붕괴시키는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갑신정변과 동학농민 운동이 수구 세력의 방해와 외국의 무력에 의하여 좌절된 위에 신분 차별이 없는 평등한 사회를 추구하는 노력은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으로 이어졌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정치, 경제, 사회 등 국정의 모든 분야에 걸친 개혁이었으나 그 중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를 폐지한 사회 개혁은 획기적인 것이었습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양반, 평민의 계급을 타파하고 백정, 광대 등 일체의 천민 신분을 폐지하였으며 공사 노비의 제도를 혁파하고 인신 매매를 금지, 조혼의 금지, 과부의 재가 허용, 고문과 연좌법의 폐지 등을 실시해 봉건적인 폐습을 타파했습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일본의 영향하에서 그들의 침략을 위한 체제 개편의 성격이 있음을 부정할수 없으나 실제 조선의 개화 관료들에 의해 갑신정변과 동학농민운동의 기반위에서 추진, 이로써 차별적인 신분제도가 폐지되고 근대적 평등 사회의 기틀이 마련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항 이후 다양한 서양 문물이 들어왔습니다. 천주교의 전파도 컸으며 화폐 거래도 활발해졌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