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든든한개개비245
든든한개개비24521.08.20

저희 어머니가 코로나걸리셨다가 완치되셨는데요.

나이는 50대 초반이시구요. 7월초쯤에 걸리셔서 1달가까운 기간 투병하시고 7월말쯤 퇴원해서 집에서 쉬고 계십니다. 폐렴기가 있으셔서 초기에 렉키로나주 맞으라고 했었는데 어머니가 불안하다고 하셔서 안맞고 결국 나중에 악화되어 램데시비르를 5일정도 투약했었습니다. 아직 좀 걸으면 숨도 차시는거 같고 몸도 많이 약해진 상태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머니가 밖에 잠깐나가는것도 많이 불안하시다고 빨리 백신을 맞고싶어하십니다. 8월23일에 백신접종이 예약되어있고, 어머니가 입원해있던 병원에 물어봤는데 접종해도 된다고 하긴했습니다.

저는 아직 조금 불안하다고 생각하는데 또 예약돼있는거 안 맞으면 언제 맞을수있을지도 모르는 상황이고해서..

어떻게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도 완치자도 코로나19 백신을 맞도록 하고 있습니다.감염이 됐어도 항체가 안 생기는 사람도 일부 있을 수 있고 확진된 이후 시간이 지나면 항체가 소실되는 사람도 있기 때문입니다.코로나 항체치료를 90일이내 받으신적이 없으시다면 백신접종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병이 있거나 연세가 있으신 분들도 백신을 잘 맞고 계시니 걸을때 숨찬 정도의 컨디션은 괜찮을것 같습니다.

    코로나가 완치 되었고, 지금은 다른 합병증이나 증세가 없는가가 중요합니다.

    다른 문제 없다면 접종도 문제 없으시리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예방접종 금기 대상이 아닌 경우 코로나19 감염된 이력이 있더라도

    코로나19 예방접종을 권고합니다.

    단, 코로나19 감염 시 수동항체치료를 받은 경우, 코로나19 예방접종으로 인한

    면역반응과 항체치료의 간섭효과를 피하기 위해 최소 90일 이후 예방접종

    시행을 권고합니다.

    또한 현재 컨디션이 좋지 않으시다면, 예약을 취소하지 마시고, 컨디션저하에 따른

    접종 보류를 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나중에 후순위로 밀려 접종을 하실 만한 컨디션이 되었는데도 접종예약을

    하지 못해 접종 못하실 수도 있습니다.

    접종은 하시기를 추천하되

    접종후, 몸이 면역형성반응을 이겨낼 만한 몸의 컨디션을 갖췄을대

    접종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에 이미 감염이 된후 치유가 되었다면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백신을 접종하지 않아도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추후에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나오면 접종하게 되었을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에 걸렸다가 완치된 경우, 항체가 보통 6개월정도 지속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현재 완치된지 한달정도 되었다면, 바로 백신접종하는것보다, 6개월정도 후에 하시는게 더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맞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