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재료공학

사천짜장면
사천짜장면

각각의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다른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 세상에는 수많은 재료의 종류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재료들이 각각 특성들이 모두 다른데, 이러한 특성의 차이는 어디서부터 기인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원자 내부에 있는 양성자숫자로 원자의 성질이 결정 됩니다.

    양성자 숫자가 많으면 그에 따라 전자의 숫자도 많은데 이러한 양성자수와 전자 수에 따라 원소의 성질이 정해 집니다. 양성자 수가 많을 수록 크기와 질량이 커지게 되는데 탄소와 철의 겨우 탄소는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부터 다이아몬드까지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재료의 특성은 재료가 가지고 있는 원자구조에 기인 합니다. 원자가 분자를 이룰때 이 분자구조가 어떤 배열로 결정을 이루어 배열 되는냐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특성도 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와 흑연은 탄소100%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이아몬드는 탄소가 3D형태로 서로 엉켜 있지고 흑연은 탄소가 2D형태로 판상을 이루고 있어 쉽게 깨지고 부서지게 됩니다.

    또한 각재료가 서로섞여 있는 원소들의 함량에 기인 합니다. 철이 탄소가 얼마나 들어 가 있느냐가 철의 강도를 좌우 합니다.

    각각의 재료의 원자와 분자구조 결정구조,그리고 함유되어 있는 원소가 재료의 특성을 결정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형 박사입니다.

    보통 재료의 특성 차이는 원자들의 결정 구조나 전자의 구조, 또는 원자간 결합의 형태에 따라 기인할 수 있습니다. 결합의 형태만 하더라도, 금속결합, 이온 결합, 공유 결합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이로 인해 재료의 구분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원자 배열이나 결합 종류, 미세구조 같은 것들이 재료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재료의 특성 차이는 원자 구정 결합 방식 미세구조 등 물질의 근본적인 구성에서 기인합니다 예를 들어 금속은 자유전자에 의해 전기전도성이 높고 세라믹은 이온 결합으로 단단하지만 깨지지 쉬우며 고분자는 분자사슬 구조로 인해 유연성과 절연성이 뛰어납니다 결국 원자 간 결합의 종류와 배열 방식이 각 재료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재료의 특성 차이는 기본적으로 그 재료를 이루는 원자들의 배열과 결합 방식에서 비롯됩니다.

    원자 간 결합의 종류에 따라 물리적이나 화학적 성질이 달라지게 됩니다.

    또한 미세구조, 결정 구조, 불순물 함량 등이 재료의 강도, 경도, 연성 등을 결정합니다.
    즉, 눈에 보이는 성질은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