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향기로운딱따구리238
향기로운딱따구리23824.04.11

은행 적금 세금은 은행마다 다른 건가요?

제가 몇 달 뒤에 적금 만기가 돼서 돈을 찾으려고 하는데요 그런데 적금 이자에도 세금을내는 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이자에내는 세금은 은행마다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지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예적금 이자소득세는 15.4%(주민세 포함)로 모두 동일합니다. 다만, 조건을 만족하면 비과세 또는 세금우대를 받을 수 있는데요.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독립유공자 본인 및 가족,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고엽제후유의증환자, 5/18민주화운동부상자 등은 전 금융기관 합산 5천만원 한도로 비과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입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

    또한, 농협, 수협,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등에 예적금을 가입할 경우 합산 3천만원 한도로 세금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까지 비과세(농어촌특별세 1.4%만 반영), 2026년까지 5.9%, 2027년부터 9.5%의 세금 적용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 적금에 대한 세금은 국가의 세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정해진 규정에 따라 적용됩니다. 따라서 국가의 세법에 따라 은행 적금에 대한 세금 규정이 결정됩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은행 적금의 이자에 대해 이자소득세를 부과합니다. 이자소득세율은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종종 소득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금액 이하의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또한, 국가에 따라 은행 적금에 대한 세금 감면이나 세제 혜택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국가에서는 국민의 저축을 촉진하기 위해 은행 적금에 대한 세금 감면 혹은 세제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은행마다 세금 규정이 다르다기보다는 국가의 세법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은행 자체가 제공하는 특별한 세금 혜택이나 서비스는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고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니요, 적금 이자에 대한 세금은 은행마다 다르지 않습니다. 이자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율은 관련 세법에 따라 전국 은행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현재 적금 이자에 대한 원천징수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자소득 2천만원 이하 : 15.4% (지방소득세 포함)

    - 이자소득 2천만원 초과 : 상황에 따라 15.4% ~ 40.8%

    은행에서는 이자 지급 시 위 세율로 원천징수하게 되어 있습니다. 다만 연간 이자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합소득과 합산하여 연말정산 등을 통해 정확한 세액이 재계산되므로 실제 세부담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원천징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만기 대신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2) 세금우대저축기간(5년, 7년 등) 경과 후 만기 시 비과세

    즉, 전국 은행의 적금 이자 원천징수 세율은 동일하며, 중도해지나 세금우대기간 만기인 경우는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적금이나 예금의 경우에는 저율과세를 적용하지 않는 이상은 모든 은행이 다 동일하게 15.4%(지방소득세 포함)을 내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적금이자에 대한 세율은 모든은행이 동일합니다.15.4%원천징수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동일하게 15.4%를 원천징수해가기 때문에 따로 신고할 필요도 없고 돈을 지불할 필요도 없습니다.

    • 만기시 받게되는 원리금에서 이미 가감을 하고 주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적금 이자에 대한 세금은 은행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적금 이자에 대한 세금:

    • 적금 이자는 소득세 과세 대상이며, 15.4%~30%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 세율은 이자 소득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 2023년 기준, 연간 500만 원 이하의 이자 소득은 비과세됩니다.

    • 500만 원 초과 4천만 원 이하: 15.4%

    • 4천만 원 초과 8천만 원 이하: 20%

    • 8천만 원 초과 1억 2천만 원 이하: 25%

    • 1억 2천만 원 초과: 30%

    은행마다 세금 공제 혜택:

    • 은행마다 세금 공제 혜택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일부 은행은 신규 고객에게 적금 이자 세금 공제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 적금 상품을 선택하기 전에 은행마다 제공하는 세금 공제 혜택을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적금 이자 세금 확인 방법:

    • 은행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적금 이자 세금 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은행 직원에게 문의하여 적금 이자 세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금우대나 비과세상품이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은행적금이면 시중은행은 동일하게 세금 15.4프로 과세하고 세후로 이자가 나옵니당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새마을금고 신협 및 2금융권 몇몇 비과세 혜택이 있는 곳을 제외하면

    이자소득세는 15.4%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금의 이자에 대한 세금 부과는 국가의 세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은행 적금의 세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적금 이자에 대한 세금은 이자소득세 및 지방세 포함해서 15.4%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