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4.02.01

언어도단 의미 유래가 알고 싶습니다.

언어도단이란 고사성어라고 있던데 언어도단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해서 생겨나게 되었는지 그 유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언어도단'은 말과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도저히 말로 나타낼 수 없을 정도로 기가 막힌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입니다. 원래는 불교 용어로, 궁극의 진리는 심오하고 오묘하여 말이나 문자로 표현할 수 없다는 의미였으나 현재는 대화로 의논하여 담판을 지을 수 없는 문제 또는 기가 막히고 어이가 없어서 말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 비유하여 쓰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언어도단의 뜻: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엄청나게 기가 막혀서 뭐라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때 쓰는 말입니다.

    불교 용어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0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언어도단의 유래가 궁금하군요.

    언어도단이란, 불교에서 등장하는 용어로, 보살영락경 하(下)를 비롯한 불교와 관련한 여러 서적 에서 등장합니다.

    원래 의미는 깊은 깨달음을 얻게 되면 말이 끊어져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상황을 이르는 말로, 심오한 진리, 또는 진리의 근 원은 단순히 말로는 표현할 수 없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진정한 깨달음의 세계는 단순히 말이나 생각으로 이를 수 없다는 뜻입니다.

    오늘날에 쓰이고 있는 언어도단은 보통 너무 어이가 없거나, 너무 기가 막히거나, 너무 엄청나서 말로 표현할 수 없거나 말이 나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특히, 정치권에서 자주 등장하는 사자성어이기도 하다. 어떤 사람이 했던 말이 ‘어이가 없어서 말문이 막힌다.'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성어는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말로써 표현하기 어려운 정도로 놀라운 상황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곤 하는데 '언어도단'이라는 고사성어는 영락경 (瓔珞經)이라는 불경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과 글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말문이 막히는 것 도저히 말로 나타낼 수 없을 정도로 기가 막힌 상황을 일컫습니다. 언어도단은 원래 불교 용어로 심오하고 미묘하여 말로 표현할 방법이 없다는 뜻입니다. 최고 경지의 진리는 사람의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없고 사람의 생각으로는 미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