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겸손한천인조104
겸손한천인조10421.08.13

7월에 화이자 백신을 맞고 4주 뒤에 2차 접종예정입니다

그런데 정부시책으로 2주가 미루어져서. 6주뒤에 2차접종을 하게 됐습니다..원래는 3주에서 4주로 연장됐다가 6주로 된것인데 접종효과가 없어져서 처음 맞는 것과 같다는 말을 몇몇분들에게 들었어요 어떤 것이 맞는 말일까요? 백신 효과가 줄어드는 걸까요? 아님 상관없이 효과가 유지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여러차례 접종하는 백신의 경우 동일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얀센 백신의 경우 허가를 위해 시행한 임상시험에서 한 차례의 접종 후 백신효과를 확인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최종 승인시에도 한 차례 접종만으로 접종이 완료되게 되었습니다.

    여러 번 접종을 시행하는 백신의 경우 1차 접종 만으로도 일정 비율 이상 항체가 생기지만 항체가 면역반응을 나타내기에 부족한 정도이거나 지속기간이 짧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차 혹은 그 이후의 접종은 부스터의 개념으로 항체를 보다 충분히 하고 지속기간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 접종합니다. 따라서 백신접종은 예방효과와 지속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권장된 횟수와 간격을 지켜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한 차례 접종 보다는 지연된 2차 접종을 완료하시는 것이 항체 생성 및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의 경우 1~2차 접종사이 최대 6주 이내 접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백신 제조사의 임상연구에서는 6주까지 2차 접종간격을 늘려 접종했을 때 유의미한 예방효과가 확인되기도 하였습니다. 백신 수급 상황 등에 따라 해외 일부 국가와 WHO에서는 최대 12주 간격으로 2차 접종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가급적 예정된 날짜에 2차 접종예약을 하시고 접종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으로 생기는 항체는 6개월정도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2차백신 접종시기가 2주정도 늦어지는 것은 백신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일정에 맞춰서 접종을 하시면 될것으로 보여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까지 백신에 대하여 정확하게 연구된 것은 없기 때문에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 다만 2차 접종은 면역력을 부스팅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맞는 것이며, 1차 접종을 통해서 항체가 제대로 형성 된 상태라면 4주가 되었든 6주가 되었든 어느 정도의 부스팅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다만 4주에서 6주로 늦춰질 경우 효과가 낮을 수는 있긴 하겠습니다. 아무도 정확하게 모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튜브에 2차 접종 해도 2차 접종 효과가 있습니다 4주 6주 사이에 접종을 하시면 됩니다 그러니 걱정하지 마시고 스케줄 대로 접종 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자세한 것은 상담하신 선생님이랑 상의하시기 보내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제조사마다 항원전달 방식이 달라서 1차 2차 나뉘는것입니다.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접종기간이 있습니다.

    가장 효과적으로 항체가 생기는 기간이겠지요.

    현재 연장한 기간도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기간내에는 존재합니다.

    코로나는 현재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각종 변이바이러스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종식은 언제가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의 경우 1차접종과 2차접종과의 간격을 3-6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3-4주안에 맞는것이 가장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있으나, 6주뒤에 접종하여도 유의할만한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처음맞는것처럼 아예 효과가 없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닙니다. 접종 기간을 꼭 지키지 않더라도 항체 생성이 안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제조사에서 임상시험 단계에서 현재 정해진 기간 근처에 접종했을 때 항체 생성률이 가장 높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꼭 이 시기가 아니더라도 조금 늦춰지거나 빨리 맞는다고 해서 항체 생성률이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