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용돈을 '한 달 간격으로 정해서 주는 것'과 '필요할 때마다 주는 것' 어떤게 현명한 경제교육이 될까요?
아이가 어느 정도 돈에 대한 개념이 머릿속에 정립이 된다면 가장 먼저 고민이 되는게
용돈을 어떻게 얼마나 주느냐의 문제입니다. 주변 지인들을 보면 용돈을 얼마나 주는지는 대략 감을잡았는데
어떤식으로 주는게 좋을지 모르겠어서 고민입니다.
아이가 자신의 용돈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익히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용돈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겟습니다. 용돈은 나이에 따라서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초등학생 같은 경우 학교 앞에서 간식을 사먹을 용도라면
분식점에 파는 간식이 최소 1500~2000원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런 점을 감안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돈이 무엇인지를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https://tv.naver.com/v/25514775
아이에게 캐릭터 용돈기입장을 선물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기록해보면서 용돈이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 아이에게 용돈이 생겼을 때 아이 손을 잡고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줍니다.
용돈이 생길 때마다/ 아이가 저축을 하고자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은행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저축하는 것을 도와준다면
아이의 저축하는 습관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보드게임을 통해서도 아이의 경제개념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아이에게 용돈을 주는 방식은 다양하게 계획을 세울 수가 있는데요. 미국의 부자들이 아이들에게 용돈을 줄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 '필요할 때마다 용돈을 주는 형태'라고 합니다.
반면에 주기적으로 기간을 잡아서 용돈을 주게 된다면 아이들이 그 용돈을 꼭 사용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서 불필요한 용돈을 쓰는 일이 빈도가 늘어난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고 자신이 꼭 필요한 것에 필요성을 느끼고 용돈을 받아서 사용하는 아이들의 경우가 훨씬 더 성장하여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소비를 하고 저축과 투자를 하는 사람으로 자라났다고 합니다.
뭐든지 절대적인 건 없지만 그래도 아이가 돈을 왜 사용해야 하는지 목적과 이유를 분명히 했을 때 불필요한 소비가 일어나지 않은 것은 분명합니다. 그렇기에 저 개인적으로는 한 달에 아이가 사용할 수 있는 돈의 양은 정해놓되, 꼭 필요한 것이 생겼을 때만 이야기해서 용돈을 다 갈 수 있도록 제한을 걸어두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아이가 성장하면서 경제교육에 대한 개념을 심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아이에게 처음으로 용돈을 줄때는 주단위로 주는것이 좋습니다. 용돈을 주기에 앞서 아이와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계획있게 쓰는 법을 알려주고 용돈기입장을 통해 수입과 지출내역을 작성함으로써 경제개념을 알수 있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아이에게 용돈이 라는 개념과 의미를 정확하게 인지를 시켜주세요.
그리고 쓰임새에 맞게 용돈을 써야함을 알려주는 것이 먼저 이겠구요.
용돈은 한 달 간격으로 정해서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용돈을 주고 알아서 계획해서 쓰라고 합니다. 일주일 동안 용돈 기입장을 쓰고 쓰지 않으면 용돈을 주지 않습니다. 일주일마다 주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는 필요할때 주는 용돈보다는 한달 또는 주단위로 용돈을 주면서 관리를 하는 방법을 알려주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용돈을 아껴서 쓰는 편이라면 한달 씩 주는 게 좋구요. 용돈을 아껴 쓰지 못 한다면 일주일 또는 하루 씩 필요할 때 마다 주는게 좋습니다.
필요할때 마다 주는것보다
매일/일주일/한달에 한번씩 주는것이 경제관념을 심어주는데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필요할때마다 돈을 얻게 되면 돈을 모우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을 거 같아요.
처음용돈을 줄때는 매일 조금씩 주는것이 좋을거 같구요.
필요할 때 주는 것은 자칫 언제나 필요하기만 하면 준다는 인식이 심어질 수 있습니다. 용돈으로 경제교육을 할 계획이시라면 정해진 때에 약속된 일정금액을 주는 것이 더 도움이 되리라 생각 됩니다.
한달간격으로 정해서 용돈을 주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용돈을 쓰다가 남거나 부족했을때 상황에서 어떻게해야할지 아는것도ㅈ경제교육이거든요